The Meaning of Prehistoric Korean Yut Board Petroglyphs in Ancient Astronomy
우리나라에는 해안지역의 바위언덕을 중심으로 윷판암각화가 산재해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윷판암각화의 위치와 형태상의 특징에 의거해서 놀이용이 아니라, 밤하늘에 뜬 달의 모양과 위치로 하루의 시간을 알려주는 달 시계의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달의 변화를 주기로 한달간의 날짜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리와 조금의 날짜를 알려주는 캘린더의 역할을 했으 니, 이는 농경사회 이전의 어로(漁撈)사회에서의 시계/달력 역 할을 수행한 일종의 천문의기(天文儀器)였음을 논증했다. 그리 고 윷판암각화의 사분원(四分圓)을 시공간에 적용하므로써 동 서남북과 춘하추동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삶의 주기를 규정하 는 기준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분석해보았다. 윷판암각화는 고대 한반도에서 일어나 아메리카 대륙에 까지 영향을 미친 고대문명의 자취이자, 그 이후에도 한국인의 우주 론·세계관과 인생관 그리고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달중심의 문 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다고 본다.
In Korea, Yut board petroglyphs are scattered across rocky hills xnrhdlfin coastal areas. In this study, we have proved that these petroglyphs could not be used for board games, i.e. Yut nori. We suggested that the petroglyphs served as lunar clocks, indicating the time of day by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moon in the night sky. Additionally, we suggested that the petroglyphs appear to have played the role of a calendar displaying a monthly cycle while indicating dates of high water and low water; in other words, these petroglyphs were a clock or calendar in pre-agricultural fishing society where they functioned as a kind of astronomical instrument. We inferred that it would serve as the standard for defining the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our directions (east, west, north and south) and four season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 by applying the four quadrants of the Yut board petroglyphs to space and time. We postulate that these petroglyphs are evidence of an ancient Korean peninsula civilization that had an impact on the American continent, and formed the basis for a moon-centered culture traversing Korean cosmology, worldview, and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