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예술 활동과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Research on cultural, artistic activiti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결혼이민자의 증가로 인해서 다문 화가족이 급증하였다. 한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와의 국제결 혼이 급증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은 다양한 가족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 전체 혼인 건수에서 차지하 는 국제결혼의 비율은 2006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조금씩 감소 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더 많은 감 소세를 보이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인 안정적인 한국 정착에 대 한 중요성은 이주를 위해 국제결혼으로 유입된 결혼이주여성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정착을 위한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실태를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좀 더 안정적인 삶 을 위해서 한국으로 이주한 경우로 문화 적응에 대한 스트레스 가 내적 갈등이 이주노동자나 단기 목적으로 한국에 다녀가는 외국인과는 구별된다는 것이다. 언어소통과 문화적인 차이는 그들의 한국 정착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그들의 초기 정착을 위한 언어소통과 한국 사회의 질서 및 생활교육이 우선시 되어 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을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결혼 이주여성에게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재 개발이나 교수법의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정착에 대한 의지가 타 외국인보 다 강하므로 문화 예술 활동에 임하는 자세는 적극적이나 그들 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과 주변 환경이 자유로운 활동에 제한을 두는 것을 없애기 위해서 가족이나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 사회 및 매체까지도 다문화에 대한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 언 어적 비언어적인 표현을 통해서 결혼이주여성을 바라보는 시선 이 여타 선주민을 대하는 것과 다르지 않도록 지속적이고 구체 회 된 교육 진행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선주민과의 활동은 다문화 수 용성을 높이고 그로 인해 그들이 보다 안정적인 한국 정착에 긍정적인 사례의 통계를 알 수 있다.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지 수를 높이는 계획을 세우고 인식개선 교육과 더불어 선주민과 함께 할 수 있는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creased in Korea due to the increase in marriage immigrants. With the rapid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form of diverse families in our society.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the total number of marriages in Korea recorded a peak in 2006 and is showing a decreasing trend, and is showing a further decline in 2020 due to COVID-19. The importance of stable settlement in Korea for marriage migrant women i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ve flowed i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for migration must be recognized for their rights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settlement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marriage migrant women are cases of immigrating to Korea for a more stable life in various cultures, and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nal conflict are different from migrant workers or foreigners visiting Korea for short-term purposes. Language communication and Korean social order and life education for their initial settlement should be prioritized so that language communication and cultural differences do not become obstacles to their settlement in Korea. This kind of education should be a study of teaching methods or development of practical textbooks that can be applied to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arious cultures. Second, marriage migrant women have a stronger will to settle in Korea than other foreigners, so they actively engag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ut in order to eliminate restrictions on their free activities by their famil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eir family or local community surrounds them. Education on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s needed even in the media. Through linguistic and non-verbal expressions, continuous and detailed education can be a method so that the gaze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indigenous people. Third, activities with indigenous people experienced by marriage immigrant women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as a result, they can find statistics of positive cases for a more stable settlement in Korea. A plan to increase the acceptability index for multiculturalism should be established, and research and support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with the indigenous people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결혼이주여성의 이해
III. 실태와 현황
    1.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2. 이주민에 대한 다문화수용성
    3. 결혼이주여성과 문화예술활동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규령(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Kim Gyouryoung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ersity, Doctorate Course, Department of Culture and Arts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