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아 초월성이 중년 삶과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후보

Effects of self-transcendence on middle-aged life and death attitu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8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연구는 40대 이상 중년을 대상으로 자아초월성, 심리적 안녕, 삶의 태도, 죽음 태도에 대 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 소재 6차산업대학 평생교육원에서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3.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초월성을 대표하는 변인들이 심리적 안녕(긍정과 부정 정서와 우울감, 노화불안,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삶의 가치, 자기행복감, 자기통합감, 죽 음의 수용정도 등 실존적인 문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참여자들의 자아초월성은 보통수준이 었으며, 심리적 안녕에서의 긍정과 부정정서 역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불안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과 불안으로 보통수준이었다. 자아존 중감도 보통수준이었으나 자아초월성보다는 다소 낮았다. 생활만족도도 보통수준이었다. 또 한, 삶의 태도에서의 자기 행복감과 자기 통합감이 다소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죽음태도에서의 죽음의 수용정도도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아초월성의 경우, 우울감, 노화불안은 서로 간에 조금의 차이는 있었다. 삶의 가치에는 전반적으로 부적인 영 향을 미쳤고 자아 초월적인 삶의 가치에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 자아초월성은 죽음의 수용정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자아초월적인 사람일수록 실존적인 불안과 공포가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elf-transcendence,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attitude, and death attitude in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or older.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53 people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the 6th Industrial College in S cit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23.0. As a result, the variables representing self-transcendenc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existential issue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ging anxiety,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life value, self-happiness, self-integrity, and acceptance of death. As for the effect, the self-transcendence of the participants was at a normal level,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lso at a normal level.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lowest. Aging anxiety was normal with uncertainty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Self-esteem was also average, but slightly lower than self-transcendence. Life satisfaction was also average. In addition, the self-happiness and self-integration in life attitude tended to be considered somewhat more important, and the degree of acceptance of death in death attitude was also found to be at a normal level. In the case of self-transcendence, depression and aging anxiety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Overall,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value of life,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personal value of life. On the other hand, trans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cceptance of death, and the more transpersonal people were, the less existential anxiety and fear were foun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절차
    2.2 연구 대상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변인 간 기술통계
    3.2 조기특성이 삶과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References
저자
  • 현용수(Chairman of the Korea Forest Culture Association) | Yong-Soo Hyun Corresponding author
  • 정미숙(Naturopathy, Dongbang Cultural University) | Mee-sook Ch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