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NA 동일성 검사를 통한 서울지역 유통 한우육의 표시 이력정보 진위 판별 KCI 등재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Labeled Traceability Information by DNA Identity Test for Hanwoo Meats Distributed in Seoul,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쇠고기 이력추적제는 소 개체마다 이력번호를 부여하여 수입쇠고기가 한우고기로 둔갑하는 사례를 막고, 소비자 에게 구입한 한우고기의 세부 이력 정보들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번 연구는 2021년-2022년 서울지역 대형 축산물판매업소에서 유통되는 한우고기 344건에서 DNA 동일성 검사를 실시하여 이력번호 등 주요 표시정보들의 진위를 판별하였다. 그 결과 45건(13.1%)에서 이력번호가 불일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일치율은 2021년(14.7%) 에 비해 2022년(11.3%) 감소하였고, 도심서북권 20.7%, 동 북권 14.4%, 서남권 및 동남권 10.2% 순으로, 북부권 (16.9%)이 남부권(10.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6개 브랜드 중 B사 및 D사는 이력관리가 양호한 반면, E사 및 A사는 이력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 차이를 보였다(P<0.001). 이력번호 불일 치 시료의 실제 이력번호는 업소 내 입(출)고 거래내역 자 료를 근거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 실제 이력번호 확인율 은 53.9%에 불과하였으나, 확인된 범위 내에서 시료의 표 시정보 진위 판별 결과, 거짓 표시는 이력번호 13.1%, 성 별 2.9%, 도축장명 2.2%, 등급 1.6% 순으로 나타났고, 품종 (한우) 거짓 표시는 없었다. 거짓 표시 축산물의 유통 차 단을 위해 표시정보의 신속한 진위 판별이 중요하므로 업 소 내 이력번호가 기재된 날짜별 부분육 소분할 작업내역 작성을 의무화하는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투명한 축산물 유통 거래 질서 정착을 위한 이력 관리 방향 설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Beef traceability systems help prevent the distribution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meat as imported beef. In particular, assigning a traceability number to each cattle can provide all information regarding the purchased Hanwoo meat to the consumers. In the present study, a DNA identity test was conducted on 344 samples of Hanwoo meat from large livestock product stores in Seoul between 2021 and 2022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important label information, such as the traceability number. Traceability number mismatch was confirmed in 45 cases (13.1%). The mismatch rate decreased to 11.3% in 2022 from 14.7% in 2021, and the mismatch rate was higher in the northern region (16.9%) than in the southern region (10.2%). In addition, of the six brands, B and D showed satisfactory traceability system management, whereas E and A showed poor traceability system managemen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actual traceability number confirmation rate was only 53.9% among the mismatch samples. However, examination of the authenticity of label information of the samples within the identified range revealed false marking in the order of the traceability number (13.1%), sex (2.9%), slaughterhouse name (2.2%), and grade (1.6%); no false marking of breed (Hanwoo) was note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erroneously marked livestock products, the authenticity of label information must be determined promptly. Therefore, a legal basis must be established mandating the filling of a daily work sheet, including the traceability number of beef, in partial meat subdivisions. Our finding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to guide the management direction of traceability systems for ensuring transparency in the distribution of livestock product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박연재(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Yeon-jae Ba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Gwa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 박미애(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Mi-ae Par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Gwacheon, Korea)
  • 이수민(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Su-min Le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Gwacheon, Korea)
  • 박형숙(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Hyung-suk Par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Gwach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