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 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 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 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 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 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 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 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Rental services have recently come to be provided in which people ca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 the form of Hanok villages, allowing everyone can easily rent and wear hanbok, a traditional Korean garment,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Users of hanbok rental services share photos of themselves wearing hanbok on social media, contributing to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hanbok experiences. However, the trend of wearing hanbok has no become established in people’s daily lives, apart from the specific places that offer hanbok experiences. To promote hanbok as everyday clothes, hanbok design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wearers with both conveni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Using 28 emotion words that express consumers’ emotions toward hanbok that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measured consumers’ emotions toward different types of hanbok with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Emotion words and categories that obtained scores of five points or above, signifying a rating of “felt fairly” or higher in relation to specific hanbok types were extracted. This study also examined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for emotional categories according to hanbok types and gend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average scores for the “favorable feeling” categor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Finally,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for emotional categorie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hanbok types: traditional (e.g., baenaet-jeogori, saekdong-jeogori, traditional hanbok for adults, and traditional wedding clothes) and modern (e.g., daily hanbok for children, for women, and for men).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hanbok in six emotional categories (i.e., the cheerful, esthetic, harmonious, fresh, favorable, and stable feeling). This study derived analytic results for terms related to emotions that hanbok wearers feel according to types of hanbok. The findings can be used by hanbok retailers and rental services to provide consumers with greater emotional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