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지역 상징 지석묘의 분포와 특징 KCI 등재

Symbolic dolme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Jeonn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8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이 글은 전남지역에서 발굴조사 된 상징 지석묘에 대해 상석의 특징, 입지, 성격 등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상징 지석묘는 지연집단이나 혈연집단들이 그들의 상징적인 기념물로 축조된 지석묘로 제단 또는 묘표석이라 부르던 것을 포함하는 지석묘의 총칭이다. 외형상 웅장하고 주위 지석묘와는 뚜렷이 차별화된 상석을 가지고 있으면서 석실이 발견되지 않는 지석묘로 보았다. 이러한 지석묘는 기반식 지석묘와 함께 탁자식 지석묘가 있다. 전남지역에서 발굴조사 된 탁자식 지석묘는 상석이 100cm 이하로 얇은 편으로 단독입지보다는 군 집에 포함되어 존재한다. 이러한 탁자식 지석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무덤 기능을 하였음을 하 부구조 존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형지석을 포함한 기반식 지석묘로 제작된 상징 지석묘는 수십 톤에 이르는 거대한 상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상징 지석묘의 상석은 단면형태로 볼 때 방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외형상 두께가 강조된 것, 너비를 강조한 형태, 길이· 너비·두께 모든 요소를 강조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상징 지석묘는 단독으로 있는 것도 있지만 군집 묘역 어느 한쪽에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거나 묘역 중앙에 위치한다. 지형적으로는 다른 군집보다 상대적으로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한다. 군집보다 위쪽에 있을 경우는 상징적 의미, 군집보다 아래쪽에 있을 경우는 묘표석 의미가 좀 더 강하게 부여된 된 것으로 보았다. 단독입지는 구릉 또는 평지에서 주변을 관망하기 좋은 곳에 위치한다. 묘표석 또는 제단적 성격이 강하며, 일부 매장주체부가 확인되는 경우는 가매장 시설일 여지가 있다. 군집 중앙은 지석묘 군집배치가 열상일 때 많이 확인된다. 군집 중앙에는 유력자 또는 상징적 인물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묘역이 조성되었을 때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독립입지는 열상배치와 군집화된 지석묘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지석묘군과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지석묘는 묘역 을 상징하며, 의례적 성격이 짙다. 지석묘 군집에서 가장 먼저 축조되며, 혈연집단과 더불어 다른 집 단이 공동으로 묘역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character of the stone tombs excavated in Jeonnam. Symbolic dolmens is a general term for trap tombs that include altars or tombstones, called altars or tombstones, on which a group of laggards or relatives built a symbolic memorial to them. It looks grand and has an upper stone that i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stone tombs. Such dolmens include table-like dolmens as well as foundation type dolmens. The Tabletop dolmen tombs excavated in the Jeonnam area have a thin upper stone of less than 100㎝, and exist in a crowd rather than in a single loc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rough the presence of the lower structure that the Tabletop dolmen functioned as a tomb without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The symbolic dolmens, which was made with a basic whetstone grave that includes a mold whetstone, is characterized by a huge upper stone weighing dozens of tons. The upper stones of such symbolic dolmens are divided into those with a cross-sectional shape close to a square and those with a cross-sectional shape close to an ellipse. In addi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a form emphasiz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shape, a form emphasizing the width, and a form emphasizing all the elements of length, width and thickness. Symbolic dolmens may be solitary, but may be spaced apart on either side of the mass grave or centrally located in the grave station. Topographically, they are relatively higher or lower than other communities. Symbolic meaning was given more strongly when it was above the crowd, and tombstone meaning was given more strongly when it was below the crowd. A stand-alone site is located in a good place to view the surroundings from hills and flatlands. If it has a strong tombstone or altar-like character and some burial bodies are confirmed, it may be a house sales facility. The center of the crowd is often confirmed when the crowd arrangement of earthstone tombs is burnt. He put an influential or symbolic person in the center of the crowd and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tomb area around it. Freestanding sites can be seen in thermal placements and clustered dolmen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other rock tombs. Such dolmens symbolize burial grounds and have a strong ceremonial character. It was built first among the crowd,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cemetery area was built jointly by other groups along with the blood relative group.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상징 지석묘 분포현황
Ⅲ. 상징 지석묘의 입지와 특징
    1. 탁자식 지석묘 입지 유형
    2. 탁자식 지석묘 상석 형태와 특징
    3. 기반식 지석묘1) 입지유형
    4. 기반식 지석묘 상석 형태와 특징
Ⅳ. 상징 지석묘의 특징과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최성훈(동북아지석묘연구소, 연구원) | Choi, Seonghoon (Researcher, Research Centre of Dolmens in North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