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적용된 에너지 소산형 댐퍼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거동 특성 파악 KCI 등재

Identification of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nergy Dissipation Damper with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Wire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8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지진이란 지구 내부의 갑작스러운 에너지 방출로 땅이 흔들리는 자연재해의 일종으로 지표면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게 수많은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지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지진 이후 발생한 구조물 의 잔류변형, 댐퍼와 구조물의 보수와 같은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초탄성 형 상기억합금을 댐퍼에 적용하고 제안한다. 본 연구의 에너지 소산형 댐퍼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과 더불어 마찰볼트가 추가됨으 로써 잔류변형은 적고 에너지 소산 및 하중 성능은 우수한 댐퍼이며 ABAQUS 프로그램을 활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여 성 능을 입증한다. 재료의 차이, 마찰볼트의 유무, 핵심부재의 크기 차이를 설계 변수로 해석을 진행하여 도출된 힘-변위 거동응답 결과를 최대하중, 잔류변위, 에너지 소산 등의 성능에 대해 비교분석한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소산형 댐퍼는 우수한 성능으로 안전한 사회기반을 조성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n earthquake is a type of natural disaster in which the ground shakes due to a sudden release of energy inside the earth, causing numerous damages to people living on the surface. For this reason, studies to minimize damage from earthquak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problems such as residual deformation of structures and repair of dampers and structures after earthquakes cannot be avoided. Therefore, in this study,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which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s applied to the damper. The damper in this study has low residual deformation and excellent energy dissipation and load performance by adding friction bolts along with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and this is proven by conducting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the ABAQUS program. The comparison variables are the difference in material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iction bolts, an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key members. Performance such as maximum load, residual displacement, and energy dissip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force-displacement behavior respons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nergy dissipation dampers are expected to create a safe social foundation with excellent performance.

목차
Abstract
1. 서 론
2. 본 론
    2.1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의 특성
    2.2 에너지 소산형 댐퍼의 메커니즘
    2.3 에너지 소산형 댐퍼의 설계
    2.4 에너지 소산형 댐퍼의 해석
    2.5 에너지 소산형 댐퍼의 해석 결과분석
3.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이헌우(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Lee Heon-Woo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신유림(인천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과정) | Shin Yu-Rim (M.Sc. Student,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박승진(인천대학교 도시공학과 정교수) | Park Sung-Jin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