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Guidelines for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무릎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의 회복과 지역사회 복귀에 있어 작업치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문헌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는 현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작업치료 중재를 확인하고 이것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은 영국 작업치료사협회의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manual(4th edition)」에서 소개한 절차를 따랐다. Patient/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PICO) 임상 질문 설정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의 보건·의료제도를 고려하여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7,241건의 논문을 추출하였으며 논문의 질 평가 및 비평적 읽기를 통해 최종 66편의 근거 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의 중재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 내용을 구성하고 권고 강도는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s(GRADE) approach 체계를 활용하여 [권고]와 [제안]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 권고 내용은 ‘환자 중심’과 ‘서비스 제공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환자 중심’범주에는 ‘일상생활 활동기능 향상’, ‘정신건강의 안정(불안, 우울 등)’, ‘환자 만족도 증가’, ‘지역사회복귀 향상’을, ‘서비스 제공 중심’범주에는 ‘작업치료사를 포함한 다학제 재활팀 구성’과 ‘작업치료 를 통한 병원 입원 기간 단축’을 위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결론 :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은 수술환자들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복귀와 입원 기간 단축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정형외과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의료비 용 감소를 위한 정책 마련에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s for patients undergoing a total knee replacement (TKR) in Korea. Although occupational therapy plays a critical role in their recovery and return to the community, it is not widely provid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in TKR pati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actice guidelines.
Method: We developed the guidelines following the methods in the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manual (4th edition)" of the British OT Association. We collected the opinions of health professionals during the initial PICO question stage and selected 66 articles after extracting 7,241 articles from various databases. The recommendations were graded as either a [recommendation] or [suggestion] using the GRADE approach.
Result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categorized into "patient-centered" and "service-centered." The patient-centered recommendations include improv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tabilizing mental health, increasing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and improving the return to the local community. The service-centered recommendations include the composition of a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team that includes occupational therapists and reduc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s: The guidelines will contribute to a stable early return to the community and a shortening of the hospitalization period for TKR patients,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orthopedic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erve as a basis for preparing policies to decrease medical costs for TKR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가이드라인 개발 매뉴얼 및 단계
    2. 연구도구
    3. 가이드라인 개발팀과 평가위원회 구성
    4.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임상 질문 설정
    5. 검색 전략
    6. 근거 추출
    7. 연구윤리
Ⅲ. 결 과
    1. 선정한 근거의 질 평가
    2. 가이드라인
    3. 가이드라인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
Ⅳ. 고찰
    1. 수술 전
    2. 수술 후 재활 & 퇴원
    3. 연구에 제한점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정헌(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Kim Jungh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
  • 정민예(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 전병진(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Jeon Byo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ngwon University, Professor)
  • 한대성(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물리치료학과 교수) | Han Dae-Sung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 전혜선(상지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Jeon Hye-S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angji University, Professor)
  • 홍익표(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Hong Ickpy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 홍보균(경북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교수) | Hong Bo-Ky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ongbuk Science College, Professor)
  • 하성규(세명대학교 보건바이오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Ha Seong-Ky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and Biology, Semyung University, Professor)
  • 황나경(서울특별시 북부병원 작업치료사) | Hwang Na-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
  • 박강현(백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Park Kang-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 강미화(충북대학교 의생명융합대학원 박사과정) | Kang Miwha (Department of Biomedical Convergence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