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휠체어 사용자의 욕창 예방을 위한 센서 기반 방석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Review on Sensor-based Cushion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in Wheelchair Us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5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자의 욕창 예방을 위한 센서 기반 방석에 대한 선행 문헌을 분석하여 센서의 위치, 개수, 적 용 대상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연구방법을 통해 IEEE Xplore, PubMed, Embase 등 데이터베이스에서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선정기준을 근거로 논문을 선정 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9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각 문헌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척수 손상 환자에 관한 연구가 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장애인은 3편, 다발성 경화증 환자 는 1편으로 보고되었다. 대상자의 수는 비장애인의 경우 8명에서 32명으로, 장애인의 경우 1명에서 17명으로 조사되었 다. 센서의 개수는 3개에서 1,024개로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센서는 주로 방석에만 삽입된 연구들이 조사됐지만, 등판에 도 센서를 삽입한 연구가 2편이 있었다. 센서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자료도 함께 제시하였다. 앉은 자세 또는 활동 수준을 분류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사용된 기기들의 정확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센서 기반 방석을 설계할 때 센서의 위치는 욕창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를 고려해야 하며, 압력 측정 외에도 알람 시스템을 통해 욕창 위험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고려한 요인들을 제품에 반 영해야 하며, 임상가의 전문적인 서비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클라이언트 중심의 접근과 근거 기반의 접근은 센서 기 반의 방석 개발과 중재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센서 기반의 방석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arget subjects, number, and location of sensors by analyzing the prior literature on sensor-based cushion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in wheelchair users.
Methods :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in databases such as IEEE Xplore, PubMed, and Embase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through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 method. Finally, a total of 9 articles were selected and each article was analyzed. Finally, a total of 9 papers were selected, and each article was analyzed.
Results :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4 studies were conducted o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3 were reported for healthy people and 1 for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The number of subjects ranged from 8 to 32 for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from 1 to 17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sensors was reported to vary from 3 to 1024. Although the studies in which the sensor was mainly inserted only in the cushion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wo studies in which the sensor was also inserted in the backrest. Visualized data are also presente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ensor can be easily identified. Most studies classified the sitting posture or activity level, and the accuracy of the devices used was high.
Conclusions : When designing a sensor-based cushion, the location of the sensor should consider the area where pressure ulcers mainly occur, and it is considered that information about the risk of pressure ulcers should be provided through an alarm system in addition to pressure measurement. It is considered that 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duct, and the professional service of the clinician should also be provided. Client-centered and evidence-based approach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sensor-based cush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sensor-based cushion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2. 연구 과정
    3. 질적 수준
    4. 결과 분석
Ⅲ. 연구 결과
    1. 검색 결과
    2. 질적 수준 결과
    3. 분석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장완호(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Jang, Wan-H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Jeonju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