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주거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Living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ubjects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5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중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가정환경수정 중재에 있어 필요한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의 필요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대상자는 2020년 상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중복으로 신청했던 16,388명이며, 이 중 가정환경수정 이용한 1,075명 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주거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주거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개선이 필요 한 주거환경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결과 :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은 조명, 계단, 문턱, 온수,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고령, 여자보다는 남자일 때, 높은 사회보장수급권, 열악한 바닥 과 벽지, 이동이 불편한 계단과 문턱, 낮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인지기능이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가정환경 개선 욕구에서는 안전 손잡이, 욕조, 바닥과 벽지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노인의 맞춤형 가정환경수정을 위해서는 신체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고려하여 바닥과 벽지, 계단, 문턱 등 환경 적 측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aily life activities of the subjects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Methods :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need survey, and extracted and analyzed data from 1,075 people us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idential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living environ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f home environment control subjects affected daily liv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graphs,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need of improvement was identified for those subject to home environment improvement.
Results : When the subjects were aged, male rather than female, it was analyzed that high social security benefits, poor floor and wallpaper, inconvenient stairs and thresholds, and low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negatively affected daily life.
Conclusions : In order to modify the customized home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floors, wallpaper, stairs, and threshold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및 연구설계
    2. 연구변수의 정의 및 측정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주거환경, 주관적건강상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상관관계
    3. 가정환경수정 대상자의 주거환경,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이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4. 개선이 필요한 가정환경 현황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황호성(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작업치료실 작업치료사) | Hwang Ho-Sung (Wonkwang University Gwangju Oriental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
  • 유두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