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자의 제가비판과 이상적 인간상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2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장자는 백가쟁명의 산물로서, 각 편의 작자들은 주로 유가와 묵가를 동 시에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이념을 선양하였다. 장자학파에서 보기에 제자백 가는 모두 윤리적 가치판단과 논리적 시비판단의 측면에서 부분만 보고 전체 를 보지 못한 방술(方術)에 불과한 것이다. 이에 당시 일반화된 이상적 인간상 가운데 특히 “인의”(仁義) 관념에 기초한 “군자”와 “성인” 관념을 비판하는 동 시에 개념의 수정과 확대를 통하여 재정립을 도모하였다. 장자학파는 기본적 으로 언어적 표현을 인위적 산물로 배척하면서도 자신들의 “주장”을 드러내 기 위해서는 부득이 메타언어를 활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외편과 잡 편에서 제가를 비판하는 과정에 원용되는 “성인”(聖人) 개념은 비판과 긍정의 이중성을 보인다. 반면에 내편의 우화에서는 장자학파의 이상적 인간상으로 정립되어 “지인”(至人)이나 “신인”(神人)과 대등한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자의 외편과 잡편에서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지인”이나 “신인” 관념 또한 현실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이상과 현실을 동시 에 향유하며 살아간다. 현실 속의 인간은 주어진 조건, 莊子에 보이는 의미에서의 “천명”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유대”(有待)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무대”(無待)의 이상적 인간형의 처세 방식 또한 “무기”(無 己), “무공”(無功), “무명”(無名)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 것으로 이해된다. 일상 인에게는 “유대”로 평가된 송영자(宋榮子)와 열자(列子)의 처세 방식 또한 어 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자를 “자연주의”로 비판한 순자는 오히려 자연과 인위 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사람을 “지인”이라고 칭하였다. 장자학파의 역설적 논리에 근거하면 꿈을 도모하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것 이 아니라 오히려 인위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이상과 현실의 상호 괴리를 경 계하면서 “진인”으로 대표되는 현실적으로도 바람직한 처세를 유지할 수 있 는 인간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후세의 도교에서 “진인”이 대표적 인간상으로 정립된 것은 도가의 “무위자연”의 관념이 현실적 인간의 “불로장 생”으로 바뀐 데 연유하는 바 클 것이다.

Zhuangzi is a product of the Hundred Schools Controversy, and the authors of each chapter mainly criticized the Confucian and Mohism at the same time to promote their own ide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Zhuangzi School, all the Hundred Schools are nothing but a way of seeing only the parts and not seeing the whole in terms of ethical value judgments and logical dispute judgments. Accordingly, among the generalized idealistic human figures at the time, he criticized the notions of “Gentleman”(君子) and “Sage”(聖人) based on ethics, and at the same time sought to re-establish the concept by modifying and expanding the concept. The Zhuangzi School basically rejected linguistic expressions as artificial products, but inevitably had to use meta-language to reveal their “Asser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Sage”(聖人) in the process of critique of other schools in the external and miscellaneous works shows the duality of criticism and affi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able of the internal works, it is established as the ideal human figure of the Zhuangzi school and is used as a concept equivalent to “Great man”(至人) or “God”(神人). Like “the sage,”(聖人) in in the external and miscellaneous works of "Zhuangzi", the notions of “the great man”(至人) or “the god”(神人) maintain a certain relationship with reality. We all live while enjoying the ideal and the reality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in reality cannot escape various forms of “Youdai”(有待) due to the given conditions, “Tianming”(天命) in the meaning shown in The Zhuangzi.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behavior of the ideal humanoid “Wudail”(無對) is also expressed in various ways such as “Wuji”(無己), “Wugong”(無功), and “Wuming”(無名).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conduct “Songrongzi”(宋榮子) and “Liezi”(列 子)'s behavior, which is evaluated as “Youdai”(有待). Therefore, Xunzi, who criticized Zhuang-tzu for “naturalism”, rather called “Great man”(至人) who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nature and man-made. Based on the paradoxical logic of the Zhuangzi School, pursuing a dream is not natural, but rather artificial. Therefore, it seems to have presented an image of a human being who can maintain a desirable situation in reality, represented by “True man”(眞人), while being wary of the mutual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rue man”(眞人) as a representative human figure in Taoism in the future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aoist’s concept of “Wuwei ziran”(無爲自然) was changed to “Bulao changsheng”(不老長生) of a real human being.

목차
Ⅰ. 서언
Ⅱ. 장자학파와 제자백가
Ⅲ. 군자와 성인
Ⅳ. 지인(至人), 신인(神人), 진인(眞人)
Ⅴ. 결어
저자
  • 윤무학(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콘텐츠학과 교수) | Yun Muhak (Professor, Dongbang Culture Univ.)
  • 이규진(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Lee Kyujin (a graduate student, Dongbang Culture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