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상경』의 소입제색 양상과 후령통과 관련된 ‘五’라는 숫자의 의미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number ‘Five(五)’ related to the Soipjaesaek aspect of 『Josanggyeong』 and Huryeongt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4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불상 안에 존치되는 복장물 중 ‘조성발원문(복장발원문)’은 어느 시대 에 누구에 의해 어떻게 조성되었는지 그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한 ‘소입제색(所入諸色)’에 따라 조성 당시의 사찰의 사격과 동참 규모 등을 알 수 있다. 다만 전승되고 있는 조상경 저본들과 출토된 판본들마다 그 기록과 물 목이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양상을 갖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상의 문제점과 이유를 도출해 보고 이러한 판 본들에 대하여 통일성을 이루도록 그 예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후령통에는 들어가는 물목들은 그 단일물목마다 모두가 ‘五’가지 로 구성되어 조성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五’라는 숫자가 갖는 의미는 무 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확실성을 기하고저 불복 장의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신뢰성을 담보하였고, 소입제색에서 사용되는 물목들의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지 각 판본들을 비교검토 하였다. 또 본 논문의 핵심주제인 복장물목에서 ‘五’라는 숫자와 관련하여 역사 성과 의미를 조명하여 증명하였다. 이울러 판본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 는 방위색의 실체를 파악해보고 그것의 기준은 무엇인지 전승과정을 통 하여 입증하고 그 방향을 제안하였다. 역사성 있는 전통이 올바르게 전승되고 보존되려면 문헌적 고찰이 우 선되어야 한다. 여기에 시대와 지역 또 찬자 등이 어어가는 전통의 가치 를 연구하고, 문화변천으로 인해 발생한 변용은 없는지 연구하되 독자적 인 견해를 주의해야 한다. 또 원본을 역주하는 자는 원형의 전승을 위해 원전번역시에는 직역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부가적 연구결과의 인용이 필요시에는 부록이나 주석에 참고문헌을 상세히 기록하여 올바름을 담보 해야 한다. 이것이 역출연구자의 역사적 사명이라고 할 것이다.

Among the ceremonial items preserved in the Buddha statue, the “Correspondence Prayer (Prayer for Costume)” shows the historical fact of how and by whom in what era it was cre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oipjesaek (所入諸色)”, the shooting range of the temple at the time of creation and the scale of participation can be known. However, each of the handed down copies of Josangyeong and the excavated editions showed various differences in the records and items. In this paper, I tried to derive the problems and reasons for these aspects and provide examples so that these editions can be unified. In addition, the items that go into Huryeongtong are all composed of “five (五)” for each single item, and here the meaning of the number “five (五)” was sought to be identified. Therefore, reliability was ensu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Jeo Bulbokjang, with certainty in this study, and each edition was compared and reviewed to see how the items used in Soinjesaek are being transformed.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number “five (五)” in the clothing item, which is the core subject of this paper, the historical nature and meaning were illuminated and proved. In addition, the true nature of the azimuth color that appears differently in each edition was identified, what its standard was, proved through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direction was suggested. In order for a historical tradition to be passed down and preserved properly, a literature review should take preced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alue of tradition passed down by era, region, and author, and whether there is any change caused by cultural change, but be careful of independent opinions. In addition, it is good for those wh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to select a literal translation when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the original text, and if citation of additional research results is necessary, the references should be recorded in detail in the appendix or footnote to ensure correctness. This can be said to be the historical mission of a backward-extraction researcher.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글
II. 불복장의 문헌적 가치
III. 불복장의 소입제색 양상
IV. 불복장의 숫자와 의미
    1. ‘五’란 숫자의 의미
    2. ‘五’방위와 색상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병학(수완나)(세계승가회 정법연구소 연구원) | Cho Byung-Hak(Suvaṇṇa) (The World Saṅgha Association of Saddhamma Research Institute, Resear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