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기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과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6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사회성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부모 관계에 따른 아동기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I시 J구의 초등학교 학부모 대상 안전 인 식 조사에서 주관적 건강, 성격 특성, 대인 관계, 정서·행동 특성의 심리적 안전감과 학교폭력 피 해 및 부모 관계를 통해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증과 ANOVA를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다중회귀분석으로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학습·사회성 부진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여아의 과민·반항성이 높았고, 6학년 아동의 개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과 학교폭력 피해 인식이 높고, 월 300만 원대의 소득수준에서 학습·사회성 부진이 높 다. 둘째,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으로 긍정적 관계에서는 불안·우울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으 로, 부정적 관계에서는 집중력과 불안·우울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사회성 부진 위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주도성, 불안·우울과 집중력 부진, 소득수준, 타인 이해, 공동체 의 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동의 학습·사회성 부진은 불안·우울, 집중력 부진과 높은 상관성이 있고, 부정적 부모 관계에서 높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아동의 학습·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부 모 관계와 심리적 안전감의 확보가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childhood psychological safety according to parental relationships. In the safety perception surve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Ward I, this study analyzed psychological safety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personality trai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parental relationship on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to test for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isk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girls' irritability and rebelliousness were higher, 6th graders' openness was lower, parents' higher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subjective health and perceived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income level of 3 million won per month was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learning and social difficulties. Seco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were anxiety and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in a positive relationship, and concentration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 a negative relationship. Third, social initiative, anxiety and depression, poor concentration, income level,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ense of commun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Poor learning and social skills in children are highly correlated with anxiety, depression, and difficulty concentrating, and are strongly influenced by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s. Therefore, positive parent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are important for improving children's learning and social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심리적 안전감
    2. 학습·사회성 부진
    3. 부모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의 분석
Ⅳ.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3.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
    4. 학습·사회성 부진의 위험도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유지혜(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조교수) | Ryu Jih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