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고막 통조림 변색방지 및 저장 중 품질변화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살아있는 새고막을 자숙, 탈각한 후 크키가 비슷한 육만을 취하여 0.1% BHA, 0.1% Tenox-Ⅱ, 0.5% Na_2EDTA 및 0.05% NDGA 용액과 3% 식염수를 대조구로 하여 각각 용액에 1시간 침지시키고, 탈수시킨 것을 통조림 제조 공장에서의 가열처리 온도인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carotenoid 색소의 잔존율은 대조구가 30.3%인 반면에 63.1%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것은 0.5% Na_2EDTA용액, 0.1% Tenox-Ⅱ 용액 순서였으며 116℃에서 시간별로 가열처리하였을 때 0.1% BHA 용액이 색소 안정화에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는데,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carotenoid 색소의 잔존율은 차례대로 각각 59.0%, 57.1% 및 43.3%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용성 갈변물질의 생성은 대조구가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흡광도가 0.051에서 0.297로 크게 증가한 반면에 0.1% BHA 용액에 침지시킨 제품이 갈변억제에도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흡광도가 0.051에서 0.148로 약간 증가하였다. 새고막 육을 0.1% BHA를 용해시킨 3% 식염수에 1시간 침지한 후 관에 담고서 116℃에서 70분간 가열살균하여 급냉시킨 것을 37±1℃에서 2개월 동안 저장하였을 때 일반 성분은 매우 안정하여 성분상의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pH나 염도의 변화도 거의 없었다. 그리고 총 carotenoid 함량은 통조림 제조 직후 0.83mg% 이던 것이 저장 60일 후 0.72mg%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때의 잔존율은 86.7%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세균의 수가 원료에서는 6.92·10 exp (3) cfu/ml이던 것이 살균한 통조림 제품에서는 37±1℃에서 60일간 저장하여도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원료의 아미노산 중에서 함량이 높은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56.8mg%(19.1%), arginine 131.8mg%(16.0%), glycine 103.5mg%(12.6%), alanine 100.3mg%(12.2%) 및 aspartic acid 62.8mg%(7.6%)로 나타났으며, 이들 5종의 아미노산 합계가 전체의 67.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함량이 적은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 7.2mg%(0.9%), isoleucine 12.6mg%(1.5%), histidine 15.7mg%(1.9%), phenylalanine 15.7mg%(1.9%) 및 methionine 17.3mg%(2.1%)의 순서로 나타났다. 원료 중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은 822.6mg%로 나타났으며, 통조림으로 제조후 37±1℃에서 60일 동안 저장하였을때는 786.9mg%로 잔존율이 95.7%로 매우 높게 나타나 통조림 제품의 유통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다. 원료에서의 핵산관련물질 함량은 6.27umol/g으로 그 중에서 hypoxanthine 2.14umol/g, IMP 1.94umol/g, ATP 0.87umol/g 순서로 함량이 높았고, inosine은 0.38umol/g으로서 ?량이 제일 적었다. 그리고 37±1℃에서 60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전체 함량은 6.09umol/g로서 크게 변화가 없었다. 그 중에서 hypoxanthine은 2.73umol/g, inosine은 0.54umol/g으로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고 ATP, ADP, AMP 및 IMP는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Ark shell was known as shellfish that had hemoglobin as blood pigment and the action of mecidine, was consumed the great part of it as raw material, though it was produced about 13, 000 M/T per year. Ark shell was processed the infinitesimal quantity as canned product, but canned ark shell had problem that occurrenced discoloration after heat treatement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This discoloration mechanism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was not clear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characterisics of the hemoglobin as blood pigment and carotenoid as meat pigment in ark shell and management of proper prosessing conditions for prevention of oxidation and discoloration by thermal treatment. When treated by digestion of 0.1% BHA, 0.1% Tenox-Ⅱ, 0.5% Na_2EDTA, 0.05% NDGA and 3% salt soln., 0.1% BHA solution was most suitable for stablilty of carotenoid that the retention ratio of carotenoids were 63.1% after heating to 116℃ for 120 minitues. In preparation of canned ark shell and storage at 37±1℃ for 60 days, the chemical composition, pH and salinity were stable. And contents of total carotenoid were decreased slightly from 0.83mg% to 0.727mg%. The viable cell count were 6.92×10 exp (3) cfu/ml at raw ark shell, after processed and storage were not detected. The predominant amino acids in the raw ark shell were glutamic acid(19.1%), arginine(16.0%), glycine(12.6%), alanine(12.2%) and aspartic acid(7.6%). When 60days stored, the contents of amino acid were stable. And the predominant nuclotide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the raw ark shell were hypoxanthine(2.14 umol/g), IMP(1.94 umol/g) and ATP(0.87 umol/g), and storage at 37±1℃ for 60 days, the quantity order were same as raw material.

저자
  • 이제헌 | Je Hun Lee
  • 오문헌 | Moon Hun Oh
  • 이희봉 | Hee Bo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