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addition of ethanol to wax gourd extract and by acetic fermentation, 5.0% acidity vinegar was produced. After putting 10% extract(10% concentration) of Chrysanthemum zawadskii in this, and by dissolving shell, Chrysanthemum zawadskii-pearl vinegar was produced. When a 1% of ark shell, oyster shell, or ear shell was added to wax gourd vinegar, 95.6~98.4% of the shell dissolved, and when a 2% content of shell was added, 97.2~98.4% was dissolved. The acidity of vinegar which dissolved 1% shell was pH 3.0~3.17, and the acidity of vinegar which dissolved 2% shell was pH 1.11~1.20. The pH values of vinegar which dissolved 1%, and 2% shell contents were 4.54~4.55, and 4.86~4.95, respectively. When 1% shell was dissolved, the acidity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vinegar, with a high pH value and low level of free acid. This shows that when Chrysanthemum zawadskii 1% is added during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inhibition was 44.4%, and 22.2% respectively. In this regard, Chrysanthemum zawadskii should be added after the fermentation of acetic acid. The calcium content of 1% shell vinegar is 0.4%, and that of 2% vinegar is 0.78%. Non-heated native wax gourd shows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of 21.7%, an antioxidant activity of 5.23%, and a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5.5%. In the case of heated-extracted wax gourd,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was 16.1%,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20.5%, antioxidant activity was 23.2%, and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was 7.1%. Also,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zawadskii,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was 28.8%,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rate was 28.2%,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14.5%,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3.2%, and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was 9.2% Data also revealed that when a 10% sample of the heated-wax gourd extract was added to A549 human lung cancer epithelial cells of, the number of cancer cells declined by 80% in 72 hours, When a 10% native extract was added, the number of cells declined by, 74% in 48 hours, and when a heated-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was added, 100% of the cells died after 72 hours.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γ-linolenic acid (18:3, n-6) 및 α-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α-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 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γ-linol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살아있는 새고막을 자숙, 탈각한 후 크키가 비슷한 육만을 취하여 0.1% BHA, 0.1% Tenox-Ⅱ, 0.5% Na_2EDTA 및 0.05% NDGA 용액과 3% 식염수를 대조구로 하여 각각 용액에 1시간 침지시키고, 탈수시킨 것을 통조림 제조 공장에서의 가열처리 온도인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carotenoid 색소의 잔존율은 대조구가 30.3%인 반면에 63.1%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것은 0.5% Na_2EDTA용액, 0.1% Tenox-Ⅱ 용액 순서였으며 116℃에서 시간별로 가열처리하였을 때 0.1% BHA 용액이 색소 안정화에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는데,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carotenoid 색소의 잔존율은 차례대로 각각 59.0%, 57.1% 및 43.3%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용성 갈변물질의 생성은 대조구가 116℃에서 120분간 열처리후 흡광도가 0.051에서 0.297로 크게 증가한 반면에 0.1% BHA 용액에 침지시킨 제품이 갈변억제에도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흡광도가 0.051에서 0.148로 약간 증가하였다. 새고막 육을 0.1% BHA를 용해시킨 3% 식염수에 1시간 침지한 후 관에 담고서 116℃에서 70분간 가열살균하여 급냉시킨 것을 37±1℃에서 2개월 동안 저장하였을 때 일반 성분은 매우 안정하여 성분상의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pH나 염도의 변화도 거의 없었다. 그리고 총 carotenoid 함량은 통조림 제조 직후 0.83mg% 이던 것이 저장 60일 후 0.72mg%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때의 잔존율은 86.7%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세균의 수가 원료에서는 6.92·10 exp (3) cfu/ml이던 것이 살균한 통조림 제품에서는 37±1℃에서 60일간 저장하여도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원료의 아미노산 중에서 함량이 높은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56.8mg%(19.1%), arginine 131.8mg%(16.0%), glycine 103.5mg%(12.6%), alanine 100.3mg%(12.2%) 및 aspartic acid 62.8mg%(7.6%)로 나타났으며, 이들 5종의 아미노산 합계가 전체의 67.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함량이 적은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 7.2mg%(0.9%), isoleucine 12.6mg%(1.5%), histidine 15.7mg%(1.9%), phenylalanine 15.7mg%(1.9%) 및 methionine 17.3mg%(2.1%)의 순서로 나타났다. 원료 중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은 822.6mg%로 나타났으며, 통조림으로 제조후 37±1℃에서 60일 동안 저장하였을때는 786.9mg%로 잔존율이 95.7%로 매우 높게 나타나 통조림 제품의 유통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다. 원료에서의 핵산관련물질 함량은 6.27umol/g으로 그 중에서 hypoxanthine 2.14umol/g, IMP 1.94umol/g, ATP 0.87umol/g 순서로 함량이 높았고, inosine은 0.38umol/g으로서 ?량이 제일 적었다. 그리고 37±1℃에서 60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전체 함량은 6.09umol/g로서 크게 변화가 없었다. 그 중에서 hypoxanthine은 2.73umol/g, inosine은 0.54umol/g으로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고 ATP, ADP, AMP 및 IMP는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달걀의 Allergenicity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물리적 처리, 축합 인산염 처리 및 효소처리를 하여 Guinea pig를 이용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inhibition 실험과 Non Proteic Nitrogen(NPN)정량을 통한 가수분해율의 측정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달걀의 allergenicity는 가열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가열시간이 길수록 단백질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켰다. Ultraviolet照射와 microwave照射는 단백 가수분해율과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켜서 allergenictity를 저하시켰으며 ultraviolet이 저해효과가 더 컸으며 부화달걀은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시키며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alcalase의 저해효과가 더 컸다. Polyphosphate의 첨가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PCA inhibition을 증가시키며 allergenicity를 감소시켰다.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를 한 달걀 gel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효소처리시 표면이 밝게 나타나서 단백질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neutrase가 alcalase보다 밝게 나타났으나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모든 효소 표면이 밝게 나타났다. Instron에서 달걀 gel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효소와의 반응시간이 길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aily meal pattern in Seoul families. The information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443 housewives in Seoul during August 20 to September 20, 1994, by using questionaires. The χ^2 test was applied to see the individual data.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in this study. 57% of Seoul families had rice with side dish set three times a day, the first choice for rice substitute was bread in breakfast and noodle in lunch, 98% of the subjects had rice in dinner. The change of the meal pattern from boiled rice to bread and noodle was the result of social changes such as urbanization, heightening up of education level of woman and the resulting increase of woman employment. They were consumed 2∼5 varieties of side dishes. The favorite were Kimchi and Cigae` and Guk. The major meal pattern is Seoul is still the traditional one composed of boiled rice and side dishes.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침채류의 염장 발효과정중 나타나는 여러가지 화학적 성분과 조직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식물조직의 변화는 펙틴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러한 조직의 변화에 관여하는 요인들은 소금의 종류 및 농도, 절임시간, 온도, 예열처리, 염혼합물, 효소, 젓갈, 마늘첨가량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