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역의 부위별 중성 및 극성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γ-linolenic acid (18:3, n-6) 및 α-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α-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 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γ-linol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Fatty acid composition of frond, sporophyll and stipe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were extensively analyzed to evaluate a nutrient significance of n-3 polyenes, n-6 polyenes, γ-linolenic acid (18:3, n-6) and α-linolenic acid (18:3, n-3). Polyenes of a -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 (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 (22:6, n-3) were as high as 29.69%, but γ-linolenic acid (18:3, n-6) was as low as 0.90% when compared to total polyenes of 44.18% in frond. The n-3 polyenes of neutu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were 22.40%, 35.82% and 3.53% in frond, 5.26%, 9.51% and 2.37% in stipe and 8.01%, 4.49% and 2.14% in sporophyl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tal polyenes and n-3 polyenes in frond of Miyeok may be used as resource of functional food.

저자
  • 오문헌 | Moon Hun Oh
  • 노영희 | Young Hee N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