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지역 대나무림의 입목축적량 산정 및 탄소저장량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and Calculation of Standing Tree Volume of Bamboo Forests in Gyeongnam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 대나무림에 대한 면적 및 입목축적량 산정과 함께 탄소저장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산림청의 임업통계연보에는 대나무림에 대한 공간정보인 면적만 제시되고 있을 뿐, 입목축적에 대한 정보는 전혀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만들어진 대나무 재적표를 활용하여 경남지역의 입목축적량을 계산하고, 여기에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여 탄소저장 량을 계산하였다. 대나무림에 대한 면적은 1/5,000 수치임상도에서 추출하였으며, 입목축적을 산정하기 위해 현지조사한 표준지 자료를 활용하였다. 표준지의 대나무는 개체목 별로 흉고직경과 수고에 재적표를 적용하여 표준지의 재적을 산정하였다. 경남지역 대나무의 공간분포 면적은 총 6,038ha로서, 전국 대나무림(20,262 ha)중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중에서는 하동군이 가장 많은 면적인 1,027 ha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의 시계열적인 분포면적 변화는 2013년 대비 2022년에 약 20.3% 감소하였으 며, 2019년 대비 약 0.4%가 감소하였다. 경남지역 대나무의 입목축적량은 2022년말 현재 148,510 ㎥인 것으로 계산되었으며, ha당 축적은 약 25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남지역 대나무 숲의 이산화탄소저장량은 287,277 tCO2 이었으며, ha당 저장량은 47.6 tCO2 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arbon storage amount and the calculation of standing tree volume of bamboo forests in the Gyeongnam province. Currently, the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resents only the area, which is spatial information on bamboo forests, and no information on the standing trees volume is provi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mboo volume table was used to calculate the standing trees volume in the Gyeongnam-do, and the carbon storage was also calculated using the carbon emission factors. The area of the bamboo forests was extracted from a digital forest type map (1/5,000), and the field survey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standing trees volume. In the sampling site,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for each individual tree, and the volume of the survey sit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stem volume table. The spatial distribution area of bamboo forests in the Gyeongnam-do area is 6,038 ha, accounting for about 30% of the national bamboo forests (20,262 ha). Among the Gyeongnam-do districts, Hadong-gun was found to have the largest area, 1,027 ha. The time-series distribution area change in the Gyeongnam-do districts decreased by about 20.3% in 2022 compared to 2013, and by about 0.4% compared to 2019. The standing trees volume of bamboo forests in the Gyeongnam-do area was calculated to be 148,510 ㎥ as of the end of 2022, and the standing trees volume per ha was about 25 ㎥. And the carbon dioxide storage of bamboo forests in the Gyeongnam-do area was 287,277 tCO2, and the storage per ha was 47.6 tCO2.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밎 방법
    1. 공간분포 자료
    2. 현장조사 자료
    3.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경남지역 대나무 공간분포 및 입목축적량
    2. 대나무 탄소저장량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재엽(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임업연구사) | Jae Yeob Jeong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류재철(한국산지보전협회, 과장) | Jae Chul Ryu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노혜정(한국산지보전협회, 과장) | Hye Jung Roh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신윤희(한국산지보전협회, 대리) | Yoon Hee Shin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이선정(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임업연구사) | Sun Jeong Lee (Forest IC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
  • 손영모(한국산지보전협회, 본부장) | Yeong Mo Son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