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중연합사 운용이 북한 군사전략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중의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Operation of the China-North Korea Combined Forces Command on the Military Strategy of North Korea : Focusing on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China-Nor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5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6·25전쟁 시 패퇴하던 북한군에게 있어 중국인민지원군의 지원은 절 대적이었다. 그러나 중국인민지원군은 조중연합사를 구성하여 조선인민 군을 통제하였고 김일성은 추락한 위상을 만회하고 군권을 장악하고자 조중연합사와 협력하고 갈등하며 북한군의 독자적인 군사전략 발전의 필 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의 주체적인 군사전략이 6·25전쟁 시 조중의 협력과 갈등의 결과로 창출된 것임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중연합사 운용 간 조중이 협력한 사항과 갈등을 빚은 내용을 분석하고, 6·25전쟁 이후 조중의 협력과 갈등이 북한의 주체적 군사전략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25전쟁 중 조중 연합사 운용 간 조중의 협력과 갈등은 김일성으로 하여금 주체적인 군사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고, 김일성은 자위적 안보에 초점을 둔 배합전략과 속전속결전략의 군사전략을 채택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군사전략은 국제적 안보환경과 북한의 핵 무력 완성 등에 따라 다소 유동적일 수는 있어도 김일성 주체사상에 기 초한 배합전략과 속전속결전략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으로 예견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The support of the Chinese People's Assistance Army was absolute for the North Korea army, which was defeated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e Chinese People's Support Army formed a joint command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o control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Kim Il Sung felt the need to develop his own military strateg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North Korea's independent military strategy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during the Korean War. To this end, it analyzed the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China-North Korea Combined Forces Command and analyzed the impact of cooperation and conflict on North Korea's independent military strategy. The study confirmed that conflict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China-North Korea Combined Forces Command during the Korean War made Kim realize the need for an independent military strategy. Such a military strategy could be somewhat fluid depending o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North Korea's completion of nuclear weapons, but it is expected that the strategy based on Kim Il Sung's ideology and quick decision-making will continue. Preparations for this need to be mad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군사전략의 개념
    2. 선행연구 검토
Ⅲ. 조중연합사 운용 간 조중의 협력과 갈등 분석
    1. 중국의 참전 결정과 조중연합사의 군사전략
    2. 조중의 협력 분석
    3. 조중의 갈등 분석
    4. 조중의 협력과 갈등 분석 결과
Ⅳ. 조중연합사의 협력과 갈등이 북한 군사전략에 미친 영향
    1. 6·25전쟁 후 군사전략 형성 배경
    2. 배합전략 형성에 영향
    3. 속전속결전략 형성에 영향
    4. ‘당의 군대’ 형성으로 주체적 군사전략 수행 여건 마련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광현(조선대학교) | Kim KwangHyun (Chosun University)
  • 정하원(조선대학교) | Jung Hawon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