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수염에서 purge와 trap headspace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휘발성 성분으로부터 표준품과의 mass spectrum 및 GC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44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을 기능기별로 나누어 보면 alcohol 성분들이 9종, aldehyde와 ketone의 carbonyl 화합물이 7종, terpene 관련 화합물이 14종, pyrazine계 화합물이 3종, hydrocarbon 화합물 5종 및 기타 성분이 6종으로 나타났다. Peak의 면적비(%)에 의한 양적인 면을 비교하여 2-propanol(8.08%), pentanol(1.82%), hexanol(2.86%), heptanol(1.26%), nonanol(1.28%) 등의 비점이 낮고 분자량이 작은 alcohol 화합물, alcohol의 산화 생성물인 hexanal (3.68%), heptanal(7.40%), nonanal(7.93%), decanal(2.04%) 등의 aldehyde 화합물, limonene(1.68%), α-copaene(2.20%), β-caryophyllene(1.43%), β-selinene(1.03%), α-selinene(1.03%) 등의 terpene 관련 화합물과 methyl pyrazine(0.28%), 2, 5-dimethyl pyrazine(0.09%), 2, 6-dimethyl pyrazine(0.41%) 등의 pyrazine 화합물 등이 주요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다.
Volatile components of Cornsilk(Zea mays L.) were isolated by purge and trap headspace method and were analyzed by GC and GC/MSD. A total of 44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cornsilk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9 alcohols, 7 aldehydes and ketones, 14 terpenes and terpene alcohols, 3 pyrazines, 5 hydrocarbons and 6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2-propanol(8.08%), pentanol(1.82%), hexanol(2.86%), hexanal(3.68%), heptanal(7.40%), nonanal(7.93%), decanal(2.04%), α-copaene(2.20%), limonene(1.68%), α-selinene(1.03%), β-selinene(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