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크라잉 게임』에 나타난 아일랜드 신화의 강제적 재생 KCI 등재

The Enforced Rebirth of Irish Mythologies in The Crying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7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조던 감독은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정치적, 젠더적, 성적 갈등과 서사가 풍부한 『크라잉 게임』을 통해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새로운 신화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작품에서 제시되는 신화의 강제성과 함께 사실적으로는 새로운 신화가 아니라 보수적이며 남성 중심의 폭력적이며 강제적인 신화를 재생할 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Director Jordan presents a new set of mythologies that collects and organizes the values and philosophies of its members systemically through The Crying Game, which shows political, gender, and sexual conflicts and narratives of modern Ireland. In this paper, along with the coercion of the myth-making and myth-taking process, we argue that the new set of mythologies in this movie is mere enforced reproductions of conservative, male-centered, and violent myth.

목차
I.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저자
  • 차민영(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 | Minyoung Cha (a professor of English at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