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 부등상시의 양안 시기능과 독서 능력 측정
Purpose : This study measured the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eye movement with induced aniseikonia. Also, tried to evaluate the read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aniseikonia magnification. Methods : A total of 29 subjects (mean age 24.48±3.43 years) of distance binocular unaided or corrected visual acuity 1.0 and without suppression were selected. To induce aniseikonia, 3 and 6% magnification iseikonic lens was applied respectively. Also, horizontal and vertical fusional vergence, vergence facility and stereoacuity were measured at 40 cm. Eye movement and reading ability were measured using an eye tracker. Results : When 3% aniseikonia was induc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sional vergence, stereoacuity and vergence facility. In addition,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arameters of eye movement and reading ability. However, when 6% aniseikonia was induc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ur, break and recovery points of the positive (BO) and negative (BI) fusional vergence (p<0.050).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k and recovery points of the vertical fusional vergence and stereoacuity (p<0.05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gence facility, all parameters of eye movement and reading ability respectively (p>0.050). Conclusion : The induced 6% aniseikonia was shown to affect the redu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fusional vergence and stereoacu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eye movements and reading skills. In follow-up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measure reading ability, including discomfort that can be consciously felt under long-term reading conditions, and investigate eye movement variables and the threshold for induced aniseikonia,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ading ability.
목적 : 본 연구는 유발 부등상시에서 양안 시기능, 안구 운동 및 독서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양안의 원거리 나안시력이나 교정시력이 1.0 이상이고, 억제가 없는 전체 29명(평균 24.48±3.43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부등상시 유발은 3% 및 6%의 부등상 교정 렌즈를 각각 가입하였으며, 40 cm에서 수평 및 수직 융합 버전스, 버전스 용이성과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안구 운동 변수와 독서 능력의 측정은 아이트 래커를 사용하였다. 결과 : 3%의 부등상을 유발하였을 때, 융합 버전스, 입체시 및 버전스 용이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0). 또한, 안구 운동 및 독서 능력의 모든 변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그러나, 6%의 부 등상을 유발했을 때, 양성(BO) 및 음성(BI) 융합 버전스의 흐린점, 분리점 및 회복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0). 또한, 수직 융합 버전스의 분리점, 회복점 및 입체시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하지만 버전스 용이성, 안구 운동 및 독서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결론 : 유발된 6%의 부등상은 수평, 수직 융합 버전스 및 입체시를 감소시켰으나, 안구 운동과 독서 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시간 독서 조건에서 자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포함한 독서 능력의 측정 및 안구 운동 변수와 독서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유발 부등상시의 역치를 조사할 필 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