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한복음을 통해 바라본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KCI 등재

A Study on Idiot by Dostoevsky from the Angle of the Gospel of Joh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3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Dostoevsky aims to portray the most beautiful man through the book, Idiot. The beautiful man by Dostoevsky is Jesus Christ. In particular, the image of Christ is based on the Gospel of John in the New Testament. He cites the main theme of the Gospel for his own novel, Idiot. To portray the beautiful Christ, Dostoevsky pits the protagonist, Myshkin, to whom the author puts the image of Johannine Jesus. The characteristic point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1) incarnation, 2) yurodivy and love, 3) rebirth, transformation,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The Idiot portrays the incarnated Christ through Myshkin. Due to Dostoevsky’s work to explore the Bible and project the biblical themes on his own novel, the readers can get a fresh insight to read and interpret the Johannine literature. The Gospel of Joh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book of rebirth and transformation by which John aims to proclaim the eternal life.

도스토옙스키는 󰡔백치󰡕를 통해 가장 아름다운 사람을 그리고자 했다. 그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사람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다. 특히 그 그리스도 이미지는 신약성서 요한복음에 기초하고 있다. 도스토옙스키는 실제 요한복음을 깊이 읽으며 그 내용을 자신의 문학 작품 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인용하고 반영했다. 그러한 경향은 󰡔백치󰡕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아름다운 그리스도를 묘사하기 위해 므이쉬킨이라는 주인공을 설정하고 요한복음의 그리스도 이미지를 그에게 부여한다. 요한복음을 토대로 󰡔백치󰡕에서 강조되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1) 성육신, (2) 유로디비 및 사랑, (3) 거듭남과 변화, 부활, 그리고 이로 인한 영생. 강생의 소설 󰡔백치󰡕는 주인공 므이쉬킨을 통해 강생한 그리스도를 형상화한다. 물론 므이쉬킨은 때로 유로디비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저자는 이를 통해 요한의 예수와 마찬가지로 현실을 초월하는 아름다움을 그려낸다. 이처럼 도스토옙스키가 요한복음을 읽고 해석하여 자신의 작품에 투영한 내용을 토대로, 독자들은 요한복음을 새롭게 읽는 통찰력을 얻게 된다. 요한복음은 거듭남과 변화의 책이며, 이를 통한 영생을 추구하는 책이다.

저자
  • 정덕희(한남대학교) | Deokhee Jung (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of Han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