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브로모에틸)인돌을 사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중합을 통해 새로운 이온성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를 합성하였다. 3-(2-브로모에틸)인돌을 사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중합은 균일하게 진행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수율 로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었다(78%). 3-(2-브로모에틸)인돌에 의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 N-(3-에틸인돌)-2-에티닐피리디늄 브로마이드의 활성화된 아세틸렌 삼중 결합은 별도의 개시제나 촉매 없이도 중합 반응이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중합체의 구조를 확인한 결과 설계한 인돌 치 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합체는 DMF, DMAc, DMSO 등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하였다. 중합체는 가시광선 영역인 457 nm에서 특징적인 흡수 피크, 600 nm에서 엣지 파장 을 보였다. 중합체의 사이클릭 볼타모그램은 산화와 환원 피크 사이에서 안정한 비가역적 전기화학 거동을 나타내 었다. 스캔 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 전류량이 증가하였으며 주 환원 및 산화 피크는 -1.3 V 및 1.1 V에서 관찰되었 다.
A new ionic polyacetylene derivative was synthesized via the quternization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by using 3-(2-bromoethyl)indole. The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by using 3-(2-bromoethyl)indole proceed well to give a high yield (78%) of polymer. The activated acetylenic triple bond of N-(3-ethylindole)-2-ethynylpyridinium bromide, produced by the reaction of 2-ethynylpyridine and 3-(2-bromoethyl)indole was spontaneously participated to linear polymerization without any additional initiator or catalyst. Various instrumental datas for polymer structure indicated that the resulting polymer have conjugated backbone system with the designed substituents. This polymer was soluble in such polar orgaincsolvents as DMF, DMAc, DMSO etc. The polymer showed a characteristic absorption peak of 457 nm and edge wavelength value of 600 nm in the visible region. The cyclic voltammograms of polymer exhibited the irreversible electrochemical behaviors between the oxidation and reduction peaks. According to the increased scan rates, redox current amount was increased and main reduction and oxidation peaks were -1.3 V and 1.1 V,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