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담관 결석의 효과적인 제거 방법 KCI 등재 SCOPUS

Effective Removal Methods for Common Bile Duct Sto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0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Choledocholithiasis carries a risk of developing biliary obstruction, acute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Therefore, removal is recommended even in asymptomatic patient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treatment for choledocholithiasis nowadays. However, ERCP can accompany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ERCP-associated pancreatitis, cholangitis, and perforations. It is important for endoscopists to know how to remove choledocholithiasis effectively while minimizing adverse events. In this review, we will go over the technical aspects and various accessories to effectively remove choledocholithiasis.

담관 결석은 폐쇄성 황달, 담도염 및 췌장염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ERCP가 1차 치료로 권유된다. 그러나 ERCP 후 부작용의 발생이 적지 않은 만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술 전 담석의 크기 및 개수, 환자의 출혈성 경향 등 위험인자의 확인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담석 제거를 위한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이해가 필수적이다. 또한 풍선도관이나 바스켓과 같은 부속기구의 장, 단점 및 적응증 그리고 부작용 대처법에 대해서 충분한 숙지가 필요하다.

목차
서 론
본 론
    1. 시술 전 확인사항
    2. 담관 결석 제거용 부속기구
결 론
요 약
저자
  • 전영훈(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 Younghun J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 소훈섭(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 Hoonsub S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 고성우(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은평성모병원 내과학교실) | Sung Woo K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Eunpyeong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