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췌장염에 동반된 가성동맥류 파열의 색전술을 이용한 치료 KCI 등재 SCOPUS

Pseudoaneurysmal Rupture Associated with Pancreatitis Treated with Transarterial Embolization: A Case Seri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0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Pancreatic pseudoaneurysm is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ten associated with pancreatitis or pancreatic surgery. As the rupture of pancreatic pseudoaneurysms can lead to catastrophic bleeding and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rates, clinical suspicion and early diagnosis are essential to improve patient outcomes. In the management of pseudoaneurysms, transarterial embolization (TAE) could be effective; however, there have been limited local studies on the outcomes of TAE for patients with pseudoaneurysm rupture associated with pancreatitis. Here, we describ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seudoaneruysm rupture associated with pancreatitis and treated with TAE.

췌장 가성동맥류는 췌장염이나 췌장 수술과 연관되어 종종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췌장 가성동맥류가 파열되면 치명적인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임상적 의심과 조기 진단이 환자의 임상 경과를 호전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성동맥류의 치료법 중 하나로 알려진 색전술은 효과적일 수 있으나, 췌장염과 관련된 가성동맥류 파열 환자의 색전술 치료 결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적다. 이에 췌장염으로 인한 가성동맥류 파열을 진단받고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 대한 증례를 보고한다.

목차
INTRODUCTION
CASE
    1. Case 1
    2. Case 2
    3. Case 3
    4. Case 4
DISCUSSION
요 약
ACKNOWLEDGMENTS
INTRODUCTION
저자
  • 서보람(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Boram Seo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 이현탁(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Hyun Tak Lee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 이정환(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Jeong Hwan Lee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 이아영(CHA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소화기내과) | Ah Young Lee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CHA Gangnam Medical Center, Seoul, Korea)
  • 박상종(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Sang Jong Park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 박주상(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Jusang Park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 서준영(분당제생병원 소화기내과) | Jun-young Seo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DMC B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Seongna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