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열정적 행동이 훈련만족 및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Amateur Golfers' Passionate Behavior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열정적 행동이 훈련만족 및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 히고자 하였다. 이에 2023년 4월 1일~6월 23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적으로 ‘골 프선수’, ‘골프훈련’, ‘골프시합’ 등을 키워드(Key word)를 설정하여 연구에 부합하는 요인을 추출 후 SPSS & AMOS 21.0를 통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훈련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열정적 행동은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훈련만족이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골프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기 보단 성장과정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갖춰져야 하며, 자기결정이 유의한 내면화의 표 출 방식? 훈련에 대한 효율성? 을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 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amateur golfers' passionate behavior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ample plan from April 1 to June 23, 2023, the key words were set for the first expert interview, "golf player," "golf training," and "golf match" to extract factors that meet the study, and are as follows through SPSS & AMOS 21.0.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amateur golfers' harmony and obsessive passion had an impact (+)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second, passionate behavior had an impact on training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training satisfaction affects training performance. Therefore, rather than distinguishing between success and failur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o professional golf, the growth process and positive emotions should be equipped, and the expression of internalization in which self-determination is significant? Efficiency in training? The results are expected to vary depending on how it is handled.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가설
2. 연구 방법
    2.1. 조사 대상
    2.2. 조사 도구
    2.3.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2.4. 자료 분석
    2.5.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성 검증
3. 결과 및 고찰
    3.1. 구조모형의 적합도
    3.2.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3.3. 열정적 행동과 훈련성과의 관계에서 훈련만족의 매개효과검증
4. 결 론
저자
  • 김주원(한국체육대학교) | Joo-Won K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