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열정적 행동이 훈련만족 및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 히고자 하였다. 이에 2023년 4월 1일~6월 23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적으로 ‘골 프선수’, ‘골프훈련’, ‘골프시합’ 등을 키워드(Key word)를 설정하여 연구에 부합하는 요인을 추출 후 SPSS & AMOS 21.0를 통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마추어 골프선수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훈련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열정적 행동은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훈련만족이 훈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골프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기 보단 성장과정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갖춰져야 하며, 자기결정이 유의한 내면화의 표 출 방식? 훈련에 대한 효율성? 을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 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case of incumbent training, unlike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t is difficult to show the results of training.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were selected and the main factors were deriv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empathy, training participation type, reliability, working experience, and training operation type were derived as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did. Confidence and training participation patterns were derived as factors affect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r the variable, the more positive it was. Therefore, as factors affecting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performance, there are empathy, training participation type, reliability, work experience, training operation type, certainty, and training participation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had an effe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업무 자율성, 업무수행역량, 직무 만족과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이를 정부 중앙·지방부처의 조직성과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조사한 2018 년 공직생활실태조사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습득했고 이를 분석에 활용했다. 또한,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46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은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정(+)의 관계에 대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의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직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의 직무 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상정한 가설이 모두 지지가 되었고, 그 결과로 그간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는 동시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에 대한 변수들이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에 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개인, 조직 차원서 영향을 주고 이는 곧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으나 기존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국가 차원으로 전이되는 구성 요소를 찾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교육훈련감소추세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에서도 교육훈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성과측정에 대한 변수를 보다 명확하게 추출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교육훈련이 기업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의 방식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교육훈련시간과 교육훈련비용은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의 성과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고 교육훈련비보다는 교육훈련시간이 각종 성과지표에 더욱 탄력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훈련시간의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국내외적으로 경쟁의 가중되는 기업환경 속에서 기업 관리자들은 인적자원개발활동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 명확하게 인식하고 교육훈련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에 관심과 노력을 많이 집중함으로써 기업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필요성이 크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인당 교육훈련비 와 경영성과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1인당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비와 경영성과 지표를 업종별·규모별로 구분하 였고, 직무수행능력, 노동생산성, 기업이미지, 근로의욕, 이직방지의 다섯 가지 변수를 경영성과 지표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교육훈련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 고, 금융업과 비금융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2배 이상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성과는 직무수행능력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근로의욕 향상, 노동생산성 향상, 기업이미지 향상, 이직방지 향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 교육훈련 투자와 경영성과 간에는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1인당 교 육훈련비가 증가 할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는 지질자원 분야의 국내·외 인적자원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개원 이래 교육 훈련 목표 성과를 달성하며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 성과의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인증과정 수료자를 대상으로 교육요구분석 및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교육요구분석을 위해 Borich 교육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방식을 활용하였다.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수강구분에 따라 만족도 및 현업적용도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질학, 광물자원, 석유해저, 지구환경 분야 의 교육훈련 과정의 교육요구도가 도출되었으며, Locus for Focus 방식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의 시급성을 판단하였다.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 결과 광물자원, 지구환경 분야의 과정이 지질학 분야의 과정보다 학습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과를 위하여 교육훈련투자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교육 훈련투자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회의론은 교육훈련 투자의 효과를 부 정하지는 않으나, 기업이 인식하고 있듯이 그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훈련투자의 실제적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서는 교육훈련투자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대안적 설명을 고려하고 이를 반영한 실증 분석 모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고자 하며, 역인과관계 설명 등의 대안적 설명을 고려한 동태적 분석 모형을 설정하여,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동태적 패널 분석의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진다. 우선, 교육훈련은 조직성과인 일인당 매출 에 유의적인 정의 효과를 미치며, 그 크기는 0.05정도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교육훈련은 재무적 성과인 일인당 순이익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동태적 패널 분석의 결과는단일연도만을 사용한 회귀분석 결과와는 효과의 크기 면에서나 유의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 역시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 내 팀 리더 및 팀원의 코칭 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탐색적 연구로 시도되었다. 서울시에 위치한 S 종합병원 팀 리더와 팀원들을 대상으로, 팀 리더들은 외부 전문 코치들로부터 코칭 워크숍 2시간씩 6회, 면대면 및 전화코칭 1.5시간씩 6회 실시하였으며, 팀원들은 훈련받은 팀 리더들이 그룹코칭 월 1 회씩 6개월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과 연구 문제의 검증은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첫째, 코칭 훈련이 개인역량 및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팀원들의 그룹코칭 효과성 검증결과 팀 리더의 효과성 검증결과와는 상반되게 변화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팀 리더들이 전문 코치로부터 12회의 코칭훈련을 받은 반면, 팀원들은 코칭 훈련을 받은 팀 리더들로부터 월 1회 코칭 훈련을 받은 결과로 보여진다. 코칭 훈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선에서 코칭 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특히 팀 리더는 전문 코치로부터 충분한 코칭 훈련을 통해 팀원에게 주기적으로 목표관리 및 확인절차를 통하여 팀원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은 첫째, 조직에서 팀 리더의 코칭 훈련이 개인 및 조직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팀 리더와 실험집단 팀원의 개인 및 조직성과 변화에 대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코칭 훈련 프로그램 운영의 방법과 기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 팀 리더와 실험집단 팀원의 개인 및 조직성과 변화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코칭훈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조사대상의 범위 및 효과성 해석 기준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 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S-OJT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구성요인과 실행방 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S-OJT프로그램 구성요인은 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지원은 학습자의 특성과 무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가 낮은 경우,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환경에, 학습동기가 높 은 경우에는 교육훈련의 훈련전문가의 역량이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능력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OJT 실시에 있어 조직의 지원은 프로그램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효과가 있으며, 훈련전문가 의 역량은 현업적용도, 직무성과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훈련프로그램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을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