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직자의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 만족 매개효과 중심으로 - KCI 등재

Research on How Educational Training for Public Servant Affects Organizational Succes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105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0.27.3.1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업무 자율성, 업무수행역량, 직무 만족과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이를 정부 중앙·지방부처의 조직성과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조사한 2018 년 공직생활실태조사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습득했고 이를 분석에 활용했다. 또한,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46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은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정(+)의 관계에 대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의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직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의 직무 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상정한 가설이 모두 지지가 되었고, 그 결과로 그간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는 동시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에 대한 변수들이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에 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개인, 조직 차원서 영향을 주고 이는 곧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으나 기존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국가 차원으로 전이되는 구성 요소를 찾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public servant educational training on organizational success was empirically analysed. For this purpose, variable for analysis was set to four parts, public servant’s educational training, work autonomy, work performance capability, job satisfaction, and verified a 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Federal-Provincial Government’s organizational success. Subject of analysis was aggregated from the 2018 Survey of Public Servant’s Life,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ith information from Public Information Portal, and used for the analysis. Moreover, research empirical analytics subjects were from 46 Federal Departments, and 17 Provincial Government’s general Public Servants. Analysis results tell that Public Servant’s educational training affected their work performance and work autonomy positively and the theorem that their performance would be affected positively was confirmed. Moreover, Public Servant’s work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ir work performance and work autonomy positively. Lastly, Public Servant’s work satisfaction also affected organizational success positively. All of the theories presented by the researcher were adopted, which could be used for explaining that the study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which had been relatively lacking, has been expanded, and the variables of work autonomy and work performance can be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assuming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would affect the autonomy of work and the performance of work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which would soon spread to the national level. However, there were limits for the current data, and it was not analysed practically. In future research,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to analyse how public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find and influence the components that are transferred from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o national level.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직자의 교육 훈련
    2. 업무수행역량
    3. 업무 자율성
    4. 직무 만족
    5. 조직성과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공직자의 교육훈련과 업무수행역량 관계
    2. 공직자의 교육훈련과 업무 자율성 관계
    3. 업무수행역량과 직무 만족 관계
    4. 업무 자율성과 직무 만족 관계
    5. 직무 만족과 조직성과
Ⅳ.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Ⅴ. 실증분석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3. 확인적 요인분석 및 개념 신뢰도 분석
    4. 상관관계 분석
    5. 가설검증
Ⅵ. 결론 및 토의
참 고 문 헌
저자
  • 박수황(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 Park Sool Hwang
  • 김미향(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벤처중소기업학과) | Kim Mi Hyang
  • 장경배(고려사이버대학교 창의공학부) | Jang Kyung Bae
  • 김태중(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Kim Tae Jo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