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 감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Stress in Undergraduat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0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 스트레스 의 관계에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의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 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298명을 대상으 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및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 매개효과 분 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 각각의 개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희망적 사고와 심리적 안녕감을 순서대로 투입한 순차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대학생 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희망적 사고가 감소하여 심 리적 안녕감을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취업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 취업으로 인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대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개입 또는 중재 방안 이 취업 지원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peful think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stress in under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98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ree four-year universities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23,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ividual mediation effect,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1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hopeful think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means intolerance of uncertainty decreased their hopeful thinking, which hinder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sequently increased their job-seeking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s or interventions that can help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significant job-seeking stres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기술 통계 및 차이 검증
    2. 상관분석
    3. 개별 매개효과
    4. 순차 매개효과
IV. 논의 및 결론
저자
  • 문화진(숙명여자대학교) |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b-seeking stress, hopeful thinking, psychological well-being, undergraduate stud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