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효의 정토에 관한 회통 ― 다양성을 조화하는 열린 관계론을 중심으로 ― KCI 등재

Wonhyo’s Doctrine of Harmonization Regarding the Pure Land: Focusing on the Open Relationism that Balances Di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9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이 논문은 다양한 의견과 지식이 공존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조화롭게 풀 어나가는 방법의 한 가지 모델로서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의 정토 사 문(淨土四門) 논의 중 정(淨)⋅부정(不淨)문과 색⋅무색문에 나타난 원효의 회 통 방식과 그 정토관의 특징을 고찰한다. 원효는 이 문제에서 열린 형태의 '생 성적 회통론'을 사용한다. 즉 서로 다른 경증을 활용하여 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각 부문에 해당하는 정토왕생 대상을 점차 확장적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에서 원효는 범부와 이승 왕생(往生)의 외연을 확장해 모순을 회통하 고, 모든 중생이 왕생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원효는 자수용토(自受用土)의 유색⋅무색론에 대한 화쟁에서도 경론 에 근거, 열린 형식의 상대적 회통방식을 보인다. 이를 통해 각 부문 및 문제 와 부문 간에 상호 연계된 열린 구조의 관계적 의미생성론을 제시한다. 즉 정 토왕생이라는 문제로부터 분화된 궁극적 진리와 세속적 진리, 타력과 자력 사 이에 교차하는 상호연계 구조 안에서 문제 풀이를 통해 회통이라는 해를 산 출한다. 붓다의 경험론적 리얼리즘의 사상과 상통하는 이러한 해법은 특정 진리나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다툼을 일으키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열린 관계론 구도를 보여준다. 주제어: 원효(元曉), 정토(淨土), 회통(會通),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다양성, 조화.

This paper examines Wonhyo’s method of harmonization and his perspective on “Pure Land” as manifested in the discussions of the “Pure-Nonpure Gate” and “Color-Colorless Gate” in the Doctrinal Essentials of the Sutra of Immeasurable Life. These discussions serve as a model for resolving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diverse opinions and knowledge coexist. Wonhyo employs an open form of ‘generative harmonization’ in addressing these issues. He utilizes different sutr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roblem and progressively expands his explanation of the subjects pertaining to each section of the Pure Land. In this process, Wonhyo resolves contradictions on the the question of rebirth to the pure land by extending the scope of the subjects to be born in the pure land from Buddha to ordinary believers, while emphasizing that all beings possess the potential for rebirth. Furthermore, Wonhyo demonstrates an open, relative form of harmonization based on the sutras in the dispute over the color and colorless theory of the land of self-enjoyment. Through this, he proposes a relational theory of creative meaning that is open and interconnected between each section and problem. This process of deriving a resolution, termed as “harmonization”, can be observed from the problems diverging from the Pure Land, such as the sections on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and other-power and self-power, which intersect in an interrelated structure. Accordingly, the solutions that align with Buddha’s experiential realism suggest an open relational structure that can resolve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where disagreements arise from an inability to understand a particular truth or the position of 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정⋅부정문에 대한 회통
Ⅲ. 색⋅무색문에 대한 회통
    1. 자수용토 무색설
    2. 자수용토 유색설
    3. 회통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
  • 김태수(대진대학교 연구교수) | Kim Taesoo (Daejin Univ.)
  • 김덕삼(대진대학교 상생교양대학 교양학부 교수) | Kim Dug-sam (Daejin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