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자발적 이직 결정 요인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직무 역량, 외부 고용 환경에 대한 인식 사이의 상호작용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 역량을 측정 하기 위해 인적·사회적 자본을 포함한 이직 자본 개념을 활용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에 걸쳐 수집된 ‘장애인고용패널데이터(PSED)’ 중 임금근로자에 해당하는 1,43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와 가족의 지지 및 대인관계 능력이 이직 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만족도가 낮고, 이직 자본 수준이 높은 임금 근로자의 경우 이직을 결정할 가능성이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적인 사회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이직 자본에 있어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임금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 일자리 에서의 경력이 인적 자본 축적을 통한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에 기여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interactions among job satisfaction, job competency and perceptions of the external employment environment affect voluntary job turnover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ovement capital including human and social capital was utilized to measure job competency, considering unique conditions of the disabled.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1,437 wage workers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between 2019 and 2021.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nd movement capital such as family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 skills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workers’turnover behavior. Wage workers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s and had high levels of movement capital were more likely to decide to change their job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bility to build and maintain supportive social relationships can be a key factor of movement capital for disabled wage workers. In addition, the findings propose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jobs may not solve the problem of frequent job turnover among disabled wage worker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take the approach that experience in the same job contributes to accumulating human capital,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ing upward mobility of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