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독일어권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회변화 KCI 등재

Social Change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and Blockchai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 German-speaking count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독일어권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거래와 블록체인 기술로 인한 사회혁신을 조망하고자 한다. 먼저, 독일어권 국가에서의 빅 데이터와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을 조사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및 선행 연 구 검토가 수행되었다. 또한, 데이터레이드(Datarade)와 같은 독일의 데 이터 회사 및 정부의 데이터 경제 관련 프로젝트(GAIA-X)에 대한 사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독일에서의 데이터 및 블록체인 활용 현 황을 파악하고, 각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 사례를 식별하였다. 금융 산업 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계좌 번호 및 구매 세부 정보를 안전 하게 저장하고 있으며, 부동산 산업에서는 임대 계약, 임대료 결제 확인 등을 블록체인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부문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에 대한 현지 사례 및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 하였다. 블록체인의 보안이라는 장점을 살려 학습자의 학습 성과나 평가, 성적 증명, 학습낙오자나 성적부진자의 학습활동 추적, 부정행위 방지, 스마트 계약을 통한 과제 관리, 평생학습증 및 학습이력부 제공 등의 방 식으로 이미 독일은 교육계에 혁신을 이루어나가고 있다. 교육 부문에서 의 이러한 조사 방법을 통해 독일에서의 기술 혁신 및 사회적 변화에 대 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독일정부 주도의 데이터거래와 블록체인 분야의 기술혁신의 효과를 입증하기에 한국정부 의 산업혁신에도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look at data transaction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innovation caused by blockchain technology in German-speaking countries. In addition,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German data providers.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data and blockchain utilization in Germany was identified, and application cases in each industry were identified. In the financial industry, blockchain technology is used to safely store account numbers and purchase details, and in the real estate industry, rental payment confirmations, etc. are efficiently managed through blockchain. Taking advantage of the security of blockchain, methods such as proof of grades, tracking learning activities of those who fail or underperform, preventing cheating, managing assignments through smart contracts, and providing lifelong learning certificates and learning records. These results prov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field of data transactions and blockchain led by the German government, and thus provide important insights that can be used for industrial innov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목차
I. 서론
II. 독일 정부의 데이터 거래 관련 연구 동향
III. 블록체인을 활용한 교육인증제도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손세훈(부산외국어대학교) | Se Hoon Son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