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존수영교육 참여가 대학생의 수중불안과 수상안전 의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on Underwater Anxiety and Water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생존수영교육 참여를 통한 대학생의 수중불안, 수상안전 의식의 변화와 변인 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 지역 내 소재 대학 중 생존수영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최종 유효표본 191 명을 활용하였다. 쟈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 본 t-tast,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 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을 때 사후 수중불안은 감소하였으며, 수상안전 의식은 증가하였다. 둘 째, 수영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그룹과 시간의 상호작용은 수상안전 의식의 하위요인인 안전교육에서만 유 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생존수영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대학교육에서의 생존수영교육 확대 방향성에 대해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underwater anxiety and water safety conscious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nges and various factors. To achieve this, 200 colleg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Busan-Ulsan-Gyeongnam reg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em, a final valid sample of 191 students was utili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software,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showed a decrease in post-test underwater anxiety and an increase in water safety consciousness compared to pre-test. Second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wimming education experience and tim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the safety education, a sub-factor of water safety conscious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could be confirmed, and further directions for expanding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 university settings could be considered.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
    2.3. 연구절차
    2.4. 측정도구
    2.5. 자료처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대학생의 생존수영 교육 참여 전·후의수중불안 및 수상안전 의식의 차이
    3.2. 수영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시기, 그룹 간수중불안, 수상안전 의식의 차이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명철(한국해양대학교 해양스포츠과학과 겸임교수) | Myung-Chul Lee (Department of Ocean Sports Science, Adjunct Professor,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 한경훈(부산대학교 스포츠과학과 부교수) | Kyung-Hun Han (Division of Sport Science, Professor,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