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발목불안정성을 가진 성인여성들의 발목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Pilot study KCI 등재

Effect of acute 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on ankle range of motion and pain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적인 발목불안정성(CAI)에 나타나는 발목가 동범위와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발목불안정성 설문지 검사에 서 좌, 우측 평균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여성 20명을 선정 하였으며 집단은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프 로그램 집단(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AE, n=10)과 대조군(CON, n=10)으로 구분하였다. AE 처 치는 일회성 운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좌·우측 발목을 각각 1회(20분) 실시하였으며 처치 전후 발목불안정성 검사, 통증 및 발목가동범위를 확인하였다. 먼저 AE 프로그램을 실시한 AE 집단의 통증 수 준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AE 프로그램 처치한 AE 집 단에서 배측굴곡이 사전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 프로그램은 CAI에서 나타나는 발목 통증과 발목의 가동범위를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발 목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acute ankle mobility exercise (AE) program on the range of motion and pain levels associated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Twenty adult women with an average score of 24 or less on both sides in the ankle instability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group (AE, n=10) and the control group (CON, n=10). The AE treatment involved a one-time, 20-minute exercise session for each ankle, conducted separately on the left and right ankles, to examine the response to a acute exercise. Measures of ankle instability, pain, and ankle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the AE group, which underwent the AE program, a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was observed post-AE compared to pre-AE (p<.01). In addition, an increase in dorsiflexion was observed in the AE group post-AE compared to pre-AE following the AE program(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acute AE program can effectively alleviate some aspects of ankle instability by improving ankl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연구대상
    2.2. 신체조성 검사
    2.3. 발목가동성 운동 프로그램
    2.4. 발목 불안정성 검사(Cumberland AnkleInstability Tool, CAIT)
    2.5. 시각적 통증 지수 검사(Visual analoguescale: VAS)
    2.6. 발목 가동범위 측정
    2.7. 자료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일회성 AE 프로그램에 따른 발목 불안정성과 통증 수치 변화
    3.2. 일회성 AE 프로그램에 따른 발목가동범위의 변화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승은(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학생) | Seung-Eun Kim (Student, Exercise physiology,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황동주(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Dong-Joo Hwang (Research professor, Sport Science Institut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장용철(한국체육대학교 운동건강관리학과 교수) | Yong-chul Jang (Professor, Exercise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김태경(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교수) | Tae-Kyung Kim (Professor, Sport Science Institut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조준용(한국체육대학교 운동건강관리학과 교수) | Joon-Yong Cho (Professor, Exercise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구정훈(한국체육대학교 운동건강관리학과 교수) | Jung-Hoon Koo (Professor, Exercise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