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트레스에 따른 대학생 탈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 Hair Loss According to Str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와 탈모와의 관련성, 탈모 인식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 스트레스와 탈모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기도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4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탈모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자 신감 상실’로 분석되었고, 특히 진로/취업과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큰 사람일수록 ‘자신감 상실’에 대한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탈모 인식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최근 가장 큰 스 트레스’ 항목의 교차분석 결과와 유형별 스트레스와 탈모 인식을 구성하는 탈모 현황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모든 유형의 스트레스가 대학생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스 트레스는 진로/취업 스트레스와 학업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고, 탈모가 생겼을 경우 대인관계나 경제적 문제에 앞서 진로/취업, 학업, 외모를 위해 보다 더 적극적으로 탈모 치료에 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탈모 인식에 있어서 탈모 현황, 탈모 관리, 탈모 치료의 3가지 항목으로 구체화하여 실증적 연구 방법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llected 245 questionnaires from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status of hair loss percep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air loss re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hair loss perception by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biggest problem caused by hair loss was 'loss of confidence', and in particular, people who were stressed about career/employment and studies were analyzed to consider the problem of 'loss of confidence' the most serious.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and the 'most recent stress' item, a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ress by type and hair loss status that constitutes hair loss awareness, it was analyzed that all types of stress affect hair loss in college students. Among them, career/employment stress and academic stres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stress, and in the event of hair loss, it was analyzed that they were more willing to engage in hair loss treatment for career/employment, study, and appearance bef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economic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lassified stress by typ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methods by specifying the contents of hair loss recognition into three categories: hair loss status, hair loss management, and hair loss treatment.

목차
1. 서 론
    1.1.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
    1.2. 탈모와 탈모 인식
2. 연구 방법
    2.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2. 조사설계
3. 결과 및 고찰
    3.1.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최근 가장 큰스트레스’항목의 교차분석 결과
    3.2. 탈모 인식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최근가장 큰 스트레스’항목의 교차분석 결과
    3.3. 탈모인식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결과
    3.4. 가설 검증 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표영희(오산대학교 준오헤어시그니처과 교수) | Young-Hee Pyo (Department. of Juno Hair Signature, Os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