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 경험 KCI 등재

Experience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Cerebral Infarction Pati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 경험을 심 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25일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 2023년 8월 25일까지 간호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 고,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인터뷰 질문은 “뇌졸중 표준화 환자 를 활용한 교육 경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나요?”이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7개의 의미있는 진술이 추출되었고, 도출된 주제모음은 ‘간호 교육적 차원’, ‘개인 적 차원’, ‘간호 직무적 차원’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뇌졸중 표준화 환자 활용은 간호학생들의 실무역량 습 득과 뇌졸중 환자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표준화 환자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요인강화와 제한된 요인 들을 파악하여 실무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understand how nursing students make meaning of experiences with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0 nursing students up to 25 August, 2023, from June 25, 2023, and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Three categories of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level of dimensions of nursing education, individual level of dimensions, job dimensions of nursing. And this study was increased nursing students' acquisition of competencies and understanding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 nursing. In simulation based practical training using standardized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strengthen positive factors, identify limited factors, and improve nursing competency.

목차
1. 서 론
    1.1. 연구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참여자 선정
    2.3. 연구보조원 훈련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2.6. 연구의 엄밀성 확보
    2.7. 연구자 준비
    2.8. 윤리적 고려
3. 결과 및 고찰
    3.1. 결과
    3.2.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오문주(송원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Moon-Ju Oh (Department of Nursing, Songwo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