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KCI 등재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during Spring and Summer Season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8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 는 목적으로, 2009년 춘계(5월)와 하계(8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 형저서동물은 총 195종과 18,685개체(667개체 m-2)로 나타났으며, 그 중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96종과 12,075개체(431개체 m-2)가 출현하여 전체의 49.2%와 64.6%를 차지하였다. 환경 보전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76±224개체 m-2), Mediomastus californiensis(42±117개체 m-2), Tharyx sp.3(26±110개체 m-2), 연체동물 이 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54±78개체 m-2) 및 절지동물 갑각류의 단각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70±146개체 m-2) 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 서동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 1은 모든 조사 시기 의 함평만 정점과 8월의 득량만 정점 4, 그룹 2는 모든 조사 시기의 가막만 정점 4와 5로 구성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3은 그룹 1과 2를 제외한 모든 정점들이 포함되었다. 연구해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긴자락송곳갯지렁이와 아기반투명조개가 우점한 가운데, 그룹 1에서는 오뚜기갯지 렁이(Sternaspis scutata)와 짧은다리안경옆새우(Ampelisca cyclops iyoensis) 등이, 그룹 2에서는 등가시버들갯지렁이(Capitella capitata)가 전반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룹 3에 서는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및 Sinocorophium sinensis가 우점하였다. 본 연구해 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는 공간적으로 폐쇄된 형태의 내만과 열린 형태의 만입구의 정점군으로, 세부 정점별로는 함평만의 정상해역 정점군, 득량만의 일부 오염심화 정점군 및 가막만의 오염심화 정점군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군집은 만의 형태와 오염심화의 정도에 따라 구조를 달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spring (May) and summer (August) 2009.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195 species 5.6 m-2 and 667 individuals m-2,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96 species) and abundance (431 individuals 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76±224 individuals m-2), Mediomastus californiensis (42±117 individuals m-2), Tharyx sp.3 (26±110 individuals m-2), the bivalvia Theora fragilis (54±78 individuals m-2)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chellensis (70±146 individuals m-2). Based on the cluster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faunal groups. The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a Sternaspis scutata and the amphipod Ampelisca cyclops iyoensis, which is located by most stations of Hampyeong Bay and St. 4 of Deungnyang Bay. The second group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a Capitella capitata at St. 4 and St. 5 in Gamak Bay where was most pollutant area.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and the amphipod Sinocorophium sinensis. Therefor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ay shape and pollution gradient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해역
    2. 현장조사 및 환경인자
    3.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결 과
    1. 환경요인
    2.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3. 우점종
    4. 생태학적 제 지수 및 군집구조
고 찰
    1. 환경요인
    2.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및 개체수
    3.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및 군집구조
저자
  • 최병미((주)저서생물연구센터) | Byoung-Mi Choi (Korea Benthos Research Center, Co., Ltd., Busan 48313, Korea)
  • 윤재성((주)저서생물연구센터) | Jae Seong Yun (Korea Benthos Research Center, Co., Ltd., Busan 48313, Korea)
  • 김성길(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환경보전본부) | Seong Gil Kim (Department of Marine Conservation,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Seoul 05718, Korea)
  • 김성수(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환경보전본부) | Seong-Soo Kim (Department of Marine Conservation,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Seoul 05718, Korea)
  • 최옥인(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생태복원실) | Ok In Choi (Ecology and Restoration Division,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Busan 48058, Korea)
  • 손민호((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 Min Ho Son (Marine Eco-Technology Institute Co., Ltd., Busan 48520, Korea)
  • 서인수((주)저서생물연구센터) | In-Soo Seo (Korea Benthos Research Center, Co., Ltd., Busan 4831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