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상가두리에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와 둥근전복속 교잡종(왕전복 H. madaka♀*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의 생물지표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Biomarkers of Haliotis discus hannai and Hybrid Abalone (H. madaka♀*H. discus discus♂) in Marine Net C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1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속 교잡종(왕전복♀*둥근전복♂)의 생물지표를 분석하여 교잡육종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존율은 북방전복과 유사하였 으나, 성장(각장)은 교잡종에서 약 10%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패각의 호흡공 기형율은 교잡 종이 북방전복보다 약 6% 낮았으며, 패각 함몰 및 부식율은 교잡종이 약 15% 낮았다. 생화학 적 조성에서는 조단백질의 경우 교잡종에서 약 3.1% 높았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사 한 값을 나타냈다. 소화, 흡수 및 해독기능을 수행하는 간췌장의 조직학적 평가에서는 교잡종 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둥근전복속 교잡종은 추후 양식 환경에 접목 하였을 때 높은 양식 생산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hybridization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biomarkers of Haliotis discus hannai and hybrid abalone (H. madaka♀*H. discus discus♂) in marine net cage. The survival rate was similar both experimental groups, but the growth (shell length) was about 10% faster in hybrid abalone. The deformity of respiratory pore in the hybrid abalone was about 6% lower than H. discus hannai, and the shell depression was about 15% lower in the hybrid abalone. In the biochemical composition, crude protein was about 3.1% higher in hybrid abalone, and showed similar values except for the crude protein. In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hepatopancreas, which performs the functions of digestion, absorption and detoxification of abalone,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hybrid abalone. On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hybrid abalone will have high aquaculture productivity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방법
결 과
    1. 생존율
    2. 성장
    3. 패각 기형률
    4. 생화학적 조성
    5. 간췌장 건강성
고 찰
저자
  • 김현진(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Hyeon Jin Kim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 신소령(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So Ryung Shin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 김성진(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Seong Jin Kim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 박정준(국립수산과학원 양식연구과) | Jung Jun Park (Aqua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이정식(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Jung Sick Lee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