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능엄경』과 『법화경』의 관음사상 비교 KCI 등재

A Comparison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oughts of Shurangama Sutra (The Sutra of the Heroic One) and the Sutra of the Lo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13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능엄경』의 이근원통과 『법화경』의 보문시현의 수행체계 와 사상적 구조를 통하여 관음사상을 비교하는 것이다. 『능엄경』의 「관세음보 살 이근원통장」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을 통하여 문성(聞性)을 관조(觀 照)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문성을 관조하는 것은 망심(妄心)을 유발하는 모든 경계를 해제하는 반문자성(反問自性)의 방법이다. 반문자성은 생멸심(生滅心)에 의지하지 않으며 육결(六結)의 단계를 거쳐 생사와 번뇌의 근본을 풀어가는 수 행의 원칙을 충실하게 따르는 것이다. 『능엄경』에서 요구하는 수행의 원칙은 수행의 시작과 목적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두 가지 결정의(決定義)로서 인지(因 地)와 과지(果地)를 일치시키되 문제의 근본에서 해탈의 열쇠를 찾는다. 『법화경』의 「관세음보살 보문품」에서는 세존이 무진의보살에게 관세음보살 의 보문시현과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묘용을 상세히 설하고 있다. 중생이 모두 고뇌에 빠졌을 때 관세음보살의 명성을 듣고 일심으로 그 명호를 부른다면 관 세음보살은 곧 그 소리를 관하고 모두를 해탈케 한다고 하였다. 관세음이라는 명호는 전생의 본원과 인지(因地)에서 자기극복을 수증하는 자리(自利)의 공부 로만 성립된 것은 아니다. 과지(果地)에서 전적으로 남을 이롭게 한 공덕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의 반문문자성 (反聞聞自性)과 일심칭명(一心稱名)의 필경지(畢竟知), 자리(自利)와 이타(利他) 의 방편의 관점에서 『능엄경』과 『법화경』에서 드러나는 관음사상의 양상을 비 교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oughts through the yigeunwontong of the Shurangama Sutra and the execution system and the ideological structure of the bomunshihyeon of the Sutra of the Lotus. In the Avalokitesvara Guan Yin yigeunwontongjang of the Shurangama Sutra, the method of contemplating the munseong through the y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is presented. The thing that contemplates the munseong is the method of the banmujaseong that lifts all of the boundaries that induce a mangshim. The banmujaseong does not rely on the saengmyeolshim. And, by going through the phase of the yukgyeol, it is the faithful following of the principle of the execution that solves the bases of the life and death and the anguish. Regarding the principle of the execution that the Shurangama Sutra demands, it is the clear and definite recognition of the beginning and the purpose of the execution. And, as the two kinds of the decision intentions, the recognition and the gwaji are made to be coincided. Except, from the basis of the problem, the key of the nirvana is found. In the Avalokitesvara Guan Yin Bomunpum, Sejon has been explaining in detail about the myoyong that makes the bomunshihyeon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and the people profitable to the Bodhisattva of Mujin. When all of the people had fallen into an anguish, after hearing about the fame of Avalokitesvara Guan Yin, if the name and the pen name are called with one mind, Avalokitesvara Guan Yin had been concerned with the sound soon and said that all of them went into nirvana. Regarding the title called “Avalokitesvara Guan Yin”, it was not established with only the study of the jari that receives the self-overcoming at the origin and the recognition. It stems from the good deed that makes the others beneficial wholly at the gwaji. In this research, it had intended to compare the aspects of the gwaneum thought that gets revealed in the Shurangama Sutra and the Sutra of the Lotus from the viewpoints of the banmunmunjaseong of the y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the pilgyeongji of the ilshimchimmyeong, and the expedient of the yita of the jari.

목차
I. 서론
II. 이근원통(耳根圓通)의 반문문자성(反聞聞自性)
    1. 문성(聞性)의 본질
    2. 이근원통법문의 수행원리
    3. 원통의 과용(果用)
III. 일심칭명(一心稱名)의 필경지(畢竟知)
    1. 관세음보살의 서원
    2. 관세음보살의 일심칭명
    3. 관세음보살 보문의 묘용
IV.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방편
    1. 자리이타의 덕
    2. 보문의 응신
    3. 시무외 공덕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병정(명조)((사)아시아종교연구원 연구위원) | Lim, Byung-Jung(Myeongjo) (senior researcher, Asia Research Center of Religions)
  • 조소현(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박사통합과정) | Jo, So-Hyun (PH.D, Candidate,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