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How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ffect Happines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KCI 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긍정적 대인관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행복증진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 실천방안 마련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임금근로 장애인의 긍정적 대인관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 해 앨더퍼(Alderfer)의 ERG이론 및 행복연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수 간 관련성을 연구모형으로 구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산하 장애인고용개발원의 <2022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조사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연령, 저학력, 신체외부장애 집단에서 행복감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대인관계와 행복감의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차별적 요소를 제거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과 장애인의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의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order to fin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happiness of the disabled,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it. To this end, based on Alderfer's ERG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on happ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variables and other variables was constructed as a research model and analyz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nalysis data,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2nd wave survey of the disabled employment panel survey provided in 2022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Disabled under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202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 of happiness was low among wage workers who are older in ages,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nd with physical and external disabilities.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n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can remove the discriminatory factor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and that, in order to help form the formation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disabled, practical interventions in various dimensions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행복의 개념
    2. 장애인의 행복감
    3. 행복감 결정요인
    4. 행복감 결정요인으로서 긍정적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2. 연구모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행복감 차이
    3.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기술통계치 확인
    4. 연구모형 검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
  • Park, Ji-sun(Lecturer, Dept. of Social Welfare, Woosong University, South Korea) | 박지선 (우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