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봉(露鋒)과 장봉(藏鋒)의 우열(優劣) 및 변화양상 고찰 KCI 등재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omplementarity, and evolution of lufeng(露鋒), and cangfeng(藏鋒)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고의 연구대상은 서예의 이론적 개념이지만 연구방법은 창작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노봉(露鋒), 장봉(藏鋒), 과봉(裹 鋒)의 운필(運筆)에 대한 분석을 집중적으로 했다. 노봉은 이왕(二王) 위주의 전통적인 ‘첩파(帖派)’에서 주로 사 용했는데, 이는 위진(魏晋)시기에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장봉과 과봉은 모두 장봉에 속하지만 두 가지 측면에서 차이 가 있다. 첫째, 여기에 말하는 장봉은 필봉을 드러내지 않고 붓 을 대어 쓰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안진경으로 대표되는 전 주(篆籀) 필의가 이러한 용례이다. 그러나 과봉은 글씨를 쓰기 전에 필봉을 거꾸로 감싸서 글씨를 쓸 때 필봉의 마찰력을 증 가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장봉과 과봉은 붓을 다루는 동작과 목적에서 모두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시간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장봉은 주로 장욱과 안진경 이후에 유행했으며, 중국서예사에서 여전히 ‘첩파’의 서풍에 속한다. 그러나 과봉은 청나라 ‘비파(碑派)’에서 주로 유행했으며, 과봉은 ‘비파’의 주요 한 용필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비파와 첩파의 심미기준이 대립되어 양쪽이 경쟁한다고 생각하지만 필자는 비파의 심미기준과 품평 언어는 이전의 첩파 심미안을 토대로 보완하여 확장했다고 주 장한다. 서예의 발전은 기존에 형성된 최고의 기준을 계속해서 변형하고 재성장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theoretical concept of
calligraphy, but the research method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brushstrokes, namely Lufeng (露鋒), Cangfeng (藏鋒), and
Guofeng (裹鋒),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creative process.
Lufeng is mainly used in the traditional "Tiepai (帖派)" cㅠntered
on the ErWang (二王), which began in the Wei-Jin (魏晋) period
and has continued to this day. Both Cangfeng and Guofeng belong
to Cangfe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wo aspects. First, the
Cangfeng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as writing with the
brush without revealing the brush tip, exemplified by the seal
script calligraphers such as Yanzhenqing(顏真卿), representative of
the "Zhuanzhou (篆籀)" style. However, Guofeng involves
wrapping the brush tip in reverse before writing, a method to
increase the friction of the brush tip when writing. Therefore,
Cangfeng and Guofeng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actions and objectives of handling the brush. Second, there is also
a temporal difference. Cangfeng was mainly popular after Zhangxi
(張旭) and Yanzhenqing and still belongs to the "Tiepai" style in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However, Guofeng was mainly
popular in the "Beipai (碑派)" of the Qing Dynasty, and Guofeng
can be considered a major brush technique of "Beipai".
Most previous studies think that the aesthetic standards of "Beipai" and "Tiepai" are opposed and compete with each other,
but the author argues that the aesthetic standards and evaluative
language of "Beipai" are based on and expanded from the
previous aesthetic vision of "Tiepai".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is a process of continuously transforming and
regrowing the previously established highest standards.

목차
Ⅰ. 머리말
Ⅱ. 노봉(露鋒)의 장단점
    1. 봉(鋒)의 두 가지 형태
    2. 이왕(二王)의 서풍(書風)5)은납작한 형태의 노봉을 사용했다.
    3. 노봉의 단점
Ⅲ. 노봉(露鋒)에서 확장된 장봉(藏鋒)
    1. 장봉의 3단계 발전과정
    2. 장봉은 노봉의 단점을 보완한다.
Ⅳ. 장봉(藏鋒)의 발전과정
    1. 명나라 초중기의 발전: 노봉에 대한 개선과 최적화
    2. 명말 청초의 돌파: 세로로 된 큰 족자[掛軸]의 발전
    3. 청나라 중기의 정체: 황권(皇權)의 영향
    4. 청나라 말기의 과봉: 과봉의 성숙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陳煜璧(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Chen Yubi (DongBang Culture Univershty D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