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KCI 등재

Analysis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in the field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논문에서는 최근 미국과 EU의 생성형 AI 영역 협력과 경쟁에 관 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정부는 투명성 보장, 즉 생성형 AI에 의해 제작 된 창작물임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 플랫폼에 대 한 제어 또한 원칙 제시뿐, 유포에 대한 기업의 책임은 면책대상 조항으 로 다루고 있다. 반면, EU가 최종한 AI 규제는 AI 사용에 관한 세계 최 초의 포괄적 AI 규제법이다. EU는 디지털 전략의 일환으로 AI 산업을 규제하여 혁신적 기술 개발 및 사용을 위한 더 나은 조건을 보장하고자 포괄적 입법 과정을 거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양측의 규제는 미국의 경우 ‘원칙 제시 및 자발성’ 규제 유형이며, EU의 경우 ‘규칙 기반, 강제성’ 규 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cen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generative AI field between the US and the EU. The U.S. government guarantees freedom of expression by ensuring transparency, that is, by indicating that creations were created by generative AI. Control over the platform only provides principles, and the company's responsibility for distribution is covered by an exemption clause. On the other hand, the AI regulation proposed by the EU is the world's first comprehensive AI regulation law regarding the use of AI. As part of its digital strategy, the EU is undergoing a comprehensive legislative process to regulate the AI industry to ensure better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gulations on both sid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principle-based and voluntary’ regulation type in the US and the ‘rule-based and mandatory’ regulation type in the EU.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생성형 AI 기술발전 동향
    2. 생성형 AI 관련 선행연구
Ⅲ. 미국 및 EU의 AI, 생성형 AI 관련 규제
    1. 미국의 AI 및 생성형 AI 규제
    2. EU의 AI 및 생성형 AI 규제
Ⅳ. AI에 관한 미국과 EU의 협력과 경쟁
    1. EU-미국 인공지능을 위한 공동로드맵
    2. EU-미국 AI 규제 격차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김현정(동아대학교) | KIM HyunJung (Dong-A University)
  • 김주희(국립부경대학교) | KIM Joo He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