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에서 양안시 기능과 Vection에 의한 사이버 멀미 상관관계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Cybersickness induced by vection in HMD VR content. Methods : The subjects were 52 adults aged 20 to 40 with no issues in near visual acuity.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phoria, near point accommodation, near point convergence, binocular accommodation facility, stereo acuity, relative accommodation teat was assessed before the use of VR contents, and the subjects used three different VR contents categorized by optic flow. Cybersickness was measured with a virtual reality sickness questionnaire (VRSQ).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dentify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the cybersickness using an alpha level of 0.50. Results : Content T and 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ybersickness (p<0.001) for all items after using VR cont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ulomotor discomfort for content B.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near phor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orientation (p<0.050) and total VRSQ (p<0.050) in Content T, and oculomotor discomfort (p<0.050) in Content R.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oculomotor discomfor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orientation (p<0.050). The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VRSQ of content T (p<0.050) No other binocular visual functions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ybersickness components. Conclusion : As a result of cyber motion sickness, it is thought that the optical flow element of the content implementing 3D has a higher effect than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effect of the binocular function itself on cyber motion sickness. In future studies,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visual element and visual perception element of VR conten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HMD VR을 사용해 발생한 사이버 멀미와 양안시 기능이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방법 : 근거리 시력에 무리가 없는 20~40대 성인 52명을 대상으로 VR 콘텐츠 이용 전 양안시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사위도, 조절 근점, 폭주 근점, 양안조절용이성, 입체시, 상대조절력검사를 시행하였다. 광학 흐름 요소로 구분한 세 가지 VR 콘텐츠를 선정하여 대상자에게 사용하도록 하고 Virtual reality sickness questionnaire을 통해 VR 콘텐츠 이용 전과 후의 사이버 멀미를 측정하였다. 양안시 기능과 사이버 멀미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다. 결과 : VR 콘텐츠 사용 후 콘텐츠 T와 R은 모든 항목에서 사이버 멀미(p<0.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콘텐츠 B의 안구운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분석에서는 근거리 사위가 콘텐츠 T의 방향감각상실(p< 0.050), 전체 VRSQ(p<0.050)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콘텐츠 R의 안구운동불편(p<0.050)과 유의한 상관관 계가 나타났다. 양안조절용이성은 콘텐츠 T의 전체 VRSQ(p<0.050)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외에 다른 양안 시 기능은 사이버 멀미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양안시 기능은 사이버 멀미와의 결과로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양안시 기능 자체가 사이버 멀미에 미 치는 영향보다 3D를 구현하는 콘텐츠의 광학 흐름 요소가 미치는 영향이 더 높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 서는 VR 콘텐츠의 시각 요소와 시지각에 대한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