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n Cataracts KCI 등재

휘발성 실내환경요인이 백내장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1)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생체지표를 통한 휘발성 실내환 경요인(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s)과 백내장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백내장 의사진단 여부 및 가정 실내공기질 측정에 참여한 만 40세 이상의 성인 총 1,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휘발성 실내환경요인의 농도와 백내장의 유 ‧무에 따른 휘발성 실내환경요인의 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복합표본 기술통계 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p<0.050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 대부분의 실내 휘발성 환경오염물질의 생체지표는 백내장을 진단받은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Benzene, Xylene, Acrolein, 1-Bromopropane, 1,3-Butadiene의 생체지표 평균농도(GM)가 백내장 진단받은 대상자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령, 성별, 결혼, 알콜, 흡연, 소득을 보정한 복합표본 로지스틱회귀분석에 서, 1,3-Butadiene의 생체지표는 약 2배(OR 1.905(95% CI: 1.001, 3.625))의 위험도로 백내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휘발성 실내환경요인과 백내장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일부 휘발성 실내환경물질은 백내장의 원인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rough biomarkers and cataracts using raw data from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9-2021). Methods : A total of 1,150 adults over 40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diagnosis of cataract and the measurement of indoor air quality at home were studied. Complex 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taracts. In the case of p<0.050, it was deemed significant. Results : Most indoor environmental pollutant biomarkers were high in subjects diagnosed with cataract. In particular, the average concentration (GM) of biomarkers of benzene, xylene, acrolein, 1-bromopropane, and 1,3-butadie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diagnosed with cataract. In a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age, sex, marriage, alcohol, smoking, and income, the biomarker 1,3-butadien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twice as hazardous (95% CI: 1.082, 4.037) and can affect cataract.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some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substances act as causative agents for catarac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ly unidentified volatil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aract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설문내용 및 환경오염물질
    3. 통계분석
Ⅲ. 결 과
    1. 일반적인 특성
    2. 환경오염물질의 농도
    3. 백내장과 환경오염물질
Ⅳ. 고찰 및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요 약
저자
  • Eun-Hee Lee(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Chungbuk) | 이은희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