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중재 조건, 형태 및 효과: 체계적 고찰 KCI 등재

Intervention Conditions, Format, and Effect of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Intervention for Stroke: A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8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에 대한 조건, 형태 및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PubMed, CINAHL, EMBASE, SCOPUS, Web of Science와 한국학술 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에 게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검색어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OR CO-OP) AND (Stroke OR Cerebrovascular accident)이며, 총 164편 중 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CO-OP 중재를 시행한 실험 문헌 9편을 최종 선택하여 문헌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한 문헌 중 무작위 대조실험 연구는 6편(66.67%)으로 질적 수준이 비교적 높았다. 대상자는 뇌졸중 후 1~6개월이 가장 많았으며, 선별조건으로는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가 선택한 중재 활동 영역으로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기간은 4주 또는 7주, 10회기, 각 주당 3회 미만이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다. 모든 문헌에서 작업수행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상지기능 및 건강 상태 같은 다른 영역의 효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종속변인 평가도구는 주로 작업수행 관련이 나타났으며, 그중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과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CO-OP 중재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특성, 선별조건, 중재 활동, 중재 효과 및 형태, 종속변인 평가도구 및 실험연구의 근거 수준을 확인하였고,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CO-OP 중재의 연구와 교육 방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the conditions, forms, and efficacy of CO-OP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Relevant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3 were obtained via searches in PubMed, CINAHL, EMBASE, SCOPUS, Web of Science, and Korea Citation Index. Among the 164 articles initially found, nine research papers that implemented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analyses. Results: Six of the nine papers describ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relatively high quality. Most participants were enrolled 1~6 months post-stroke. Cognition and communication were confirmed to b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Most of the selected intervention activity areas wer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st periods were 4 or 7 weeks, with 10 sessions performed at a pace of fewer than three sessions per week. All studies focused on occupational performance, but recorded potential effects in other areas, includ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ssessment tools focused primarily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mong thes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 assessment survey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and education on CO-OP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troke.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1. 문헌검색방법
    2.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
    3. 문헌 선택 과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의 질적 수준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및 선별조건선( 별 포함기준 및 제외기준)
    3. 선정된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Performance) 중재 작업 영역 및 활동
    4. 중재 효과 및 중재 형태
    5. 종속변인을 위한 평가도구
Ⅳ.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현동(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Lee Hyeon-D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Course)
  • 유은영(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Yoo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