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subfamily Plusiinae (Lepidoptera: Noctuidae) using the patterns of forewing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171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본 연구는 검거세미밤나방(Agrotis ipsilon) 성페로몬 트랩에 혼재하여 유살되는 은무늬밤나방아과 형태적 분류와 동정법 수립을 위해, 날개 무늬의 형태계측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은무늬밤나방아과 개체는 2023년 11월 부터 12월까지 제주도 애월읍 일대에서 채집되었으며, 콩 해충으로 알려진 콩은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을 비롯하여, 다양한 농작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붉은금무늬밤나방(Chrysodeixis eriosoma)의 수컷 성충이 포획되었다. 앞날개의 형태 및 무늬를 가지고 현장에서 쉽게 동정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 성충 개체의 앞날개를 잘라 현미경 카메라로 촬영하고, 앞날개의 내횡선, 아외연선, 반점 크기 등 15개의 형질 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형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포를 통하여 두 종간 분리되는 형질을 파악하 였다. 최종적으로 다변량 분석법을 적용하여 두 집단이 어떻게 군집을 이루는지 분석하고, 날개형태만으로 붉은 금무늬밤나방과 콩은무늬밤나방을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
  • Sori Choi(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Jin Woo Heo(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Hyeon Suk Jo(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Han Ni Aye(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Yong Kyun Shin(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Myungeun Chwa(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Dong-soon Kim(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