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디지털 성범죄 가해의 관계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xual Crime Victimization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Attitude to Digital Sexual Crime Assault in Adolesc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청소년에게 SNS상에서 일어나는 디지털 성범죄 문화 가 단순한 놀이로 취급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청소년기 부모는 디지털 성범죄 가해와 피해 모두 보호 요인으로 설명되지만, 디지털 성범죄 피 해는 가해로 이어진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디지털 성범죄 가해의 관계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 을 규명하고자 54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매개효 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좋을수록 디지털 성범죄 가해를 낮추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 지만,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높을수록 디지털 성범죄 가해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 도와 디지털 성범죄 가해의 관계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는 완전매개하 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한계 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Parenting during adolescence has been described as a protective factor for both assault and victimization of digital sexual crimes, and victimization of digital sexual crimes leads to assault. Therefore, we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sexual crimes victim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digital sexual crimes assaul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bootstrap study of 548 adolescent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better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sexual crime victimization. second, higher digital sexual crime victimiz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gital sexual assault.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digital sexual crime victimization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digital sex crime assault. Based on the findings,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부모의 양육태도: 가설적 원형모형
    2. 디지털 성범죄: 계획 행동이론, 중화이론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2. 연구모형과 가설
    3. 연구 도구
    4. 자료분석 절차
Ⅳ. 연구결과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증
    2. 상관관계 분석
    3.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디지털 성범죄 가해에 미치는영향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저자
  • 강선경(서강대학교) | Kang Sun-kyung (Sogang University)
  • 서상형(서강대학교) | Seo Sang-hyeong (So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