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박물관 AI 음성 대화의 이용자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진시황제릉(秦始皇帝陵) 박물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r Intention to Use AI Voice Conversations in Museums : Focused on the Users of the Museum of the Mausoleum of Emperor Qin Shi Hu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AC(Cognition-Affect-Conation) 프레임을 기반으 로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 이용자가 사용하는 다단계 체험 모델을 구 축하고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 고, 미래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의 개발 및 최적화를 위한 이론적 근 거와 실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CAC 프레임을 기반으로 의인성 인지, 관계성 인지, 오락성 인지, 서비스 품질 인지, 비용 인지, 이용자 감정, 이용자의 사용 의도 등의 측면에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한다. 정량적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 해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의 이용자 사용 의도 생성 동기를 분석한 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관계성 인지, 오락성 인지, 서비스 품질 인 지는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 시킬 수 있고, 긍정적인 감정은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에 대한 이용 자의 사용 의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의인성 인지와 비용 인지가 높으 면은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이 발생 하여 이용자의 사용 의도를 높이는 데 부정적인 연향이 있음을 도출했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multi-stage experience model for museum AI voice dialogue technology users based on the CAC framework,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use of museum AI voice dialogue, and provid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museum AI voice dialogue technology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have shown that high perceived related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can enhance users' positive emotions towards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and positive emotions can enhance users' willingness to use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On the contrary, higher perceived anthropomorphism and perceived cost can generate negative emotions among users towards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which is not conducive to enhancing user willingness to use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인지 단계
    2. 감정 체험 단계
    3. 행동 단계
    4. 인지감정행동 이론 프레임
Ⅲ. 연구방법
    1. 연구 가설 및 연구 모델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설문지 설계 및 조사 과정
Ⅳ. 결과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 분석
    3. 탐색적 요인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
    5. 상관분석
    6. 가설검증 및 경로계수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장춘양(세종대학교) | Chunyang Zhang (Sej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