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이 교회사회복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목회자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which the pastor's social welfare cognition has the activation for social welfare the of church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storal leader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의 리더십의 역할에 대해 교회 사회복지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구 체적으로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이 교회 사회복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련 요인을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이 교회사회복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목회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인식과 교회 사회복 지 활성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교회 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목회자와 교회의 역할 을 제시하여 교회사회복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350명의 목회자에게 설문을 배부하였고, 회 수된 212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고, 본 연구가설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 여 통계패키지(SPSS for windows 18.0)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사회복지인식이 교회 사회복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정의관계인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을 의미한다. 즉,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목회자 집단 일수록 교회 사회복 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며, 목회자의 교회 사회복지인식이 높을수록 교회 사회복지 활성화 가 증가하는 영향관계의 정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role of the leadership of the pastor of church’s welfare point of view was to lights at. Specifically, the social welfare minister recognized the impact on the welfare ministry activat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in relation to verify whether the issue was set to study. To this end, 350 people nationwide survey distributed to pastors were collected 212 questionnaires were coded,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in order to validate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statistical package(SPSS for windows 18.0) to the analysis. Enable the Ministry of Social Welfare recognized the impact on the welfar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relation to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static control means.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more social welfare groups recognize the high clergy, the higher welfare ministry, the degree of activation increasing effect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further enhanced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교회사회복지의 특성과 필요성
    2.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과 교회 사회복지
    3. 목회자의 리더십과 교회 사회복지
    4.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4. 측정도구
    5.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의 차이
    3.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
    4.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과 교회사회복지의 영향
    5. 목회자의 사회복지인식과 교회사회복지의 영향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Ⅴ. 결 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제언
Ⅵ.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Ⅱ. 국외문헌
ABSTRACT
저자
  • 노영옥(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 No Young-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