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 일자리를 통한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Factors Examined through Elderly People’s Wo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와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른 사회 경제적 대처방안이 시급히 요 구되었다. 세계에서 빠른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문제는 퇴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할상실과 빈곤이 다. 노인복지차원에서 노인소득보장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노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일을 포기해야만 하는 현상은 노인들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초래하고 급기야 노인자살, 가족 문제로 확대되어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의 세계는 자신의 정체감의 중요한 부분이다. 건강한 노인이 일자리 기회를 통해 능동적으로 사회참 여에 몰입할 수 있다면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심리사회적 욕구도 충족시키고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수 있 게 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노인 일자리를 통한 만족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일자리 참여 노인들이 생활만족, 직무만족, 자아존중감이 증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일자리 참여를 통한 노인의 생활만족 요 인은 자신의 생애를 의미있게 받아들이므로 자신의 인생에 대해 총합적으로 긍정적인 만족 태도를 나타나 며, 노인에게 적합한 근로활동을 통한 직무만족 요인은 노년기 생활의 경제적 의미로 작용하면서 동시에 생활전반에 만족감과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 참여를 통한 노인의 자아존중감 요인 은 노인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하므로 정신적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행복감, 신체적 건강 등 퇴직으로 인한 전체적인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로 작요하는 것으로 밝혀져 노인복지의 일 자리 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기대되는 것으로 연관되어진다. 따라서 200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이 노후소득보장제도로 확대되어 맞춤형 일자리와 교육의 홍보로 우리나라의 이상적인 노인복지정책이 실현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었으며, 노인 의 역할상실과 여가문제, 심리사회적 고립문제, 질병문제, 가족문제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elderly people can be preoccupied with active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ork opportunities, it can meet human’s basic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needs, and also can contribute socially. This study identified satisfaction factors through elderly people’s work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evaluat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life, job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work are enhanced. The factor of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participation in work reveals positive satisfactory attitude on one’s own life overall. The factor of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ing activities suitable for elderly people functions as an economic meaning for their old age, and simultaneously the elderly people feel satisfaction and rewarding in life. The factor of elderly people’s self-respect through participation in work highly affects their mental health, sinc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a positive being. The factor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personal happiness and physical health after retirement.Therefore the importance of job creation policy for elderly people’s welfare increases furthermore. The need of Korea’s ideal elderly people welfare policy realization is raised furthermore through customized jobs and education/training PR with an expansion of the elderly people’s job creation project carried out from 2004 into an income guarantee system for their old age. The project for elderly people’s job creation can be a measure to prevent elderly people’s loss of role, leisure-related problems, social and psychological isolation, diseases, and family problem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의 특성
    2. 노인의 퇴직과 경제활동
Ⅲ. 노인일자리 만족 요인
    1. 노인 일자리와 생활만족 간의 관계
    2. 노인 일자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3. 노인 일자리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봉화(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Kim Bong-Hwa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i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 이주용(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 Lee Ju-Yong (Dept. of social welfare at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